학술논문
미술치료의 인지기능 영역에 대한 효과: 메타분석
이용수 207
- 영문명
- Effects of Art Therapy on the Cognitive Function Domain: A Meta-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조연경(Cho, Yeon-Kyung) 김태은(Kim, Tae-Eun)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9권 제5호, 1251~126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1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치료의 인지기능 영역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여 객관적인 근거기반의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1월부터 2021년 5월까지 국내 출판 실험 연구 167편을 확인하고, PICOT-SD를 활용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32편의 연구대상을 확정하였다. 이후 메타분석에 필요한 자료가 모두 포함된 18편의 연구를 재선정하여 88개의 분석 자료를 추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 CMA 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첫째, 미술치료의 인지기능에 대한 전체 효과 크기는 1.28로 큰 크기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미술치료가 인지기능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인지기능의 종속변인별 전체 효과크기 또한 중간 이상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사고, 언어, 공간능력의 치료 효과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의 중재 요인 중 학술지, 청소년, 비질환자, 9명 내외 실험집단, 14회기 프로그램, 단일프로그램에서 더욱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erformed a meta-analysis to provide objective evidence-based data by confirming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the cognitive function domain. For this purpose, 167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Korea from January 2005 to May 2021 were identified, and 32 research subjects were confirmed using PICOT-SD. Thereafter, 88 piece of data collected from 18 studies suitable for meta-analysi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6.0/CMA 3.0 program. As a result of the meta-analysi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art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was 1.28,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large size level, confirming that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enhancing cognitive function. Second, the overall effect size for each dependent variable of cognitive function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intermediate or higher level, and in particular, the treatment effect size for thinking, language, and spatial ability was relatively larger. Third, among the intervention factors of the program, a larger effect size was found for academic journals, adolescents, non-diseases, experimental groups of around nine people, 14-session programs, and single program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들의 암 투병 과정에서 미술작업이 주는 구원에 대한 경험 탐구
-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 심리변화진단 검사, PPAT 그림검사 중심으로
- 미술치료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제안 연구
- 자서전 만들기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행복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사의 ETC 활용 자기작업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반려동물을 상실한 여성의 애도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애도작업으로서의 미술치료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미술치료의 인지기능 영역에 대한 효과: 메타분석
- 긍정심리학을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 동향(2013-2021):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 문헌 고찰
- 수용전념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재활병원 지원 서비스를 받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학개론 교재의 내용 분석과 개선방안
- 미술치료사의 유화작업 경험에 대한 존재론적 탐구
-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