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치료학개론 교재의 내용 분석과 개선방안
이용수 117
- 영문명
- The Content Analysis of Introductory Art Therapy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정소연(Jeong, So-yeon) 공마리아(Kong, Maria) 이은주(Lee, Eun-joo) 김지은(Kim, Jee-Eun)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9권 제5호, 1161~117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1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 양성 교육에 기본이 되는 입문서인 ‘미술치료학개론’의 교재 분석을 통하여 현재 대학 및 대학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들의 전반적인 내용과 구성을 살펴보고,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과정의 개발과 향후 미술치료학 개론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국내 소재 대학 및 대학원에서 사용되는 7권의 교재를 선정하였으며, 연구 결과로 발달재활서비스 미술 심리 재활 영역의 인정 기준인 미술치료학개론의 교수요목을 기반으로 분석 틀을 설정하여 개론서의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개론서는 미술치료의 전체적인 내용들을 다루면서도 저자의 관심과 성향, 발행 연도 등에 따라 담고 있는 내용과 그 구성이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론서 집필에서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미술치료학 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처음으로 시도된 미술치료학개론 교재의 내용 분석 연구로서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currently used i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s for the Introduction to Art Therapy course, an introductory course for educating art therap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introduction to art therapy. As the study subject, seven textbooks used i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in Korea were selected, and the analysis framework was based on the syllabus of the course, which is the accreditation standard for the field of art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in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The framework involved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introduction in each textbook. The contents were analyzed and reflected in the stud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while all the introductory textbook has the overall content focused on art therapy,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the contents in each textbook varied according to the author's interest and disposition, and the publication year. Based on the findings, the results identified the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 writing of future introductory textbooks and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t therapy curriculum were presen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first attempted content analysis study of the introductory art therapy textbook were also discussed. Based on the limitations, future studies are recommend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들의 암 투병 과정에서 미술작업이 주는 구원에 대한 경험 탐구
-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 심리변화진단 검사, PPAT 그림검사 중심으로
- 미술치료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제안 연구
- 자서전 만들기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행복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사의 ETC 활용 자기작업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반려동물을 상실한 여성의 애도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애도작업으로서의 미술치료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미술치료의 인지기능 영역에 대한 효과: 메타분석
- 긍정심리학을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 동향(2013-2021):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 문헌 고찰
- 수용전념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재활병원 지원 서비스를 받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학개론 교재의 내용 분석과 개선방안
- 미술치료사의 유화작업 경험에 대한 존재론적 탐구
-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