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 간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코로나19 시기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이용수 100
- 영문명
-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Mothers of 4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Social Competence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이금규(Lee, Keumkyu) 김유정(Kim, Yoojung) 박유경(Park, Yookyeong) 이강이(Lee, Kangyi)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29권 제3호, 163~18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시기에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정 내 교육지원 활동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 이들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사회적 역량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학부모정책연구센터에서 실시한 학부모교육참여패널조사의 4차년도 자료인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 308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IBM SPSS Statistics 26.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아동 성별과 어머니의 취업 여부를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사회적 역량을 매개로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에 미치는 간접효과 모두 유의하였다. 교육 주체인 어머니의 가정 내 교육지원 활동에 주목한 이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 간 관계에서 어머니의 사회적 역량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사회적 역량을 고취할 수 있는 개입 방안과 이와 관련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social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for mothers of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and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 during the COVID-19 perio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on 308 mothers having a child in a transition to a higher grade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Parent Educational Involvement (PSKPEI) in 2020, and carried out by bootstrapping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6.0 program and SPSS Process Macro. Our main findings illustrated that social support for mothers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ir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 through their social competence. In other words, when mothers have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they tend to have a higher levels of social competence, in turn, leading to better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s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for mothers on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 for their children by placing emphasis on mothers’ social compet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기질이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자기 분화의 조절 효과
- 부정적 양육태도 및 친구관계가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 및 성별간 다집단 분석
- 맞벌이 가정의 초등자녀 방학돌봄 잠재유형과 유형별 예측요인 및 양육스트레스
- 너무 빨리 어른이 되어야만 하는 아이들: 코로나19 시대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진로와 자립 준비과정
- 만화 그리기를 활용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된 무기력을 중심으로
-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초산모의 그릿(Grit)과 산후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시기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 간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코로나19 시기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어머니의 유아기 양육행동이 초등학교 1학년 자녀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정서문제의 매개효과 검증
- 중년기 남성의 은퇴불안과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30∼40대 자녀양육기 부모의 자녀돌봄, 문화․여가활동 시간, 성역할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활시간 사용의 양태를 중심으로
- 부모의 도덕적 이탈 유도가 청소년의 도덕적 이탈을 통해 청소년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인간형 인공지능 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해결중심상담자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