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너무 빨리 어른이 되어야만 하는 아이들: 코로나19 시대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진로와 자립 준비과정
이용수 744
- 영문명
- Children Who Become Adults Too Quickly: The Career and Self-reliance Preparation Process of Adolescents in Child Rearing Facilities during COVID-19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유설희(Yoo, Seolheui) 한세영(Han, Sae-Young)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29권 제3호, 133~16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원가정에서 분리되어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청소년의 진로와 자립 준비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아동양육시설에서 살고 있는 만14∼18세 사이의 여자 청소년 11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20년 2월부터 2021년 5월까지 반구조화된 면접질문지를 활용한 개별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면담 내용은 녹취록으로 작성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시설 청소년이 경험하는 진로와 자립 준비과정을 살펴보고자 이 연구에서는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안한 미시분석을 통해 119개의 개념을 도출하였고, 이를 통합하여 41개의 하위 범주와 13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도출한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코로나19라는 위기 상황은 아동양육시설 청소년들의 전반적인 삶과 진로 및 자립 준비에 더욱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일부 시설 청소년은 시설생활에 안주하여 진로와 자립 준비에 대한 당위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사후 관리가 요구된다. 또한,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은 이른 시기에 자립을 맞이하여 빠르게 진로 결정과 자립을 준비하는 과업이 있었으나 여느 또래들처럼 진로와 자립 준비과정에서 성장하고 발전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 연구는 가정 외 보호체계에 있는 청소년을 위한 진로와 자립 준비 교육과 프로그램의 기획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areer and self-reliance preparation process of adolescents living in child rearing facilities separated from the original family. Eleven female teenagers under the age of 14-18 who are currently living in child rearing faciliti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from February 2020 to May 2021. To examine the career and self-reliance preparation process experienced by facility youth, 119 concepts were derived through the micro-analysis by Strauss and Corbin (1998). Concepts were combined and classified into 13 categories and 41 subcategor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ituation of the COVID-19 crisis had a more negative effect on the overall life and career and self-reliance preparation of facility youth. However, adolescents in some facilities were complacent about facility life and did not recognize the necessity for career and self-reliance preparation. Continuous monitoring and follow-up management are required. Adolescents in facilities faced independence at an early age and were tasked with career decisions earlier than others in the same age range and preparing for independent living. However, there were some adolescents who experienced personal development and growth during the preparation process of career and self-reliance like their peers.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career and self-reliance preparation education and programs for youth in the out-of-home protection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기질이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자기 분화의 조절 효과
- 부정적 양육태도 및 친구관계가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 및 성별간 다집단 분석
- 맞벌이 가정의 초등자녀 방학돌봄 잠재유형과 유형별 예측요인 및 양육스트레스
- 너무 빨리 어른이 되어야만 하는 아이들: 코로나19 시대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진로와 자립 준비과정
- 만화 그리기를 활용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된 무기력을 중심으로
-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초산모의 그릿(Grit)과 산후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시기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 간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코로나19 시기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어머니의 유아기 양육행동이 초등학교 1학년 자녀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정서문제의 매개효과 검증
- 중년기 남성의 은퇴불안과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30∼40대 자녀양육기 부모의 자녀돌봄, 문화․여가활동 시간, 성역할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활시간 사용의 양태를 중심으로
- 부모의 도덕적 이탈 유도가 청소년의 도덕적 이탈을 통해 청소년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인간형 인공지능 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