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Association between Attachment Insecurity and Depressive Mood among Undergraduates: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and Belongingness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전예림 진보라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33권 제1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Whisman(2017)이 제안한 우울의 관계적 관점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에서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애착불안정성의 하위변인들 간에 내적작동모델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불안애착정도와 회피애착정도를 포함한 하위변인 수준에서 연구모형이 고찰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연구를 진행하였고, 통계분석으로 SPSS 29.0과 PROCESS macro 4.2를 사용하였다. 다중병렬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ayes(2018)의 모델 6번을,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1) 불안애착정도와 우울감의 관계에서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은 유의한 부분 다중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2) 회피애착정도와 우울감의 관계에서 사회비교 경향성은 유의하지 않고, 소속감만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높은 수준의 불안애착정도의 관계민감성과 높은 회피애착정도의 사회철회 경향성을 반영하며, 나아가 우울 이해에 있어 애착불안정성의 하위특성을 막론한 소속감의 중요성을 함의한다. 결국 대학생 우울개입에 있어 애착불안정성의 하위요인별 특수성을 고려하는 동시에, 연결성이라는 공통욕구를 고려한 관계맥락적 접근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Some traditional models have often overlooked relational factors underlying depressive symptoms. Recently, relational perspectives on depression have gained prominence in research and mental health practice (Whisman, 2017).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and belongingness in relationships between attachment insecurity and depressive mood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survey method was conducted with 278 undergraduates in metropolitan Seoul. Multiple mediation effects were tested using SPSS 29.0, PROCESS macro 4.2, and Hayes’s Model 6 (2018) with bootstrapping. Results: Results revealed that a) social comparison and belonging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depressive mood, and b) belongingness fully mediated the path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depressive mood; whereas social comparison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s: These findings highlight relational sensitivities associated with anxious attachment, social withdrawal tendencies in avoidant attachment, and the pivotal role of belongingness across attachment types in understanding depressive mood. It implicates the necessity of incorporating relational/contextual factors into interventions for depressive mood, moving beyond individual-centered approaches. Future clinical research and practice should adapt relational models of depression to enhance therapeutic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