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기 남성의 은퇴불안과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이용수 493
- 영문명
- Effects of Retirement Anxiety and Aging Anxie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Men: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정정희(Jung, Junghee) 이순현(Lee, Soonhyoun) 조수현(Cho, Soohyun)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29권 제3호, 211~23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기 남성의 은퇴불안과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 D시, S시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만 40세부터 만 64세까지 중년기 남성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255부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은퇴불안, 노화불안, 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 심리적 안녕감 변인을 측정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남성의 은퇴불안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친 반면, 노화불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은 노화불안과 심리적 안녕감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완전매개 경로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년기 남성의 노화불안과 은퇴불안의 개별적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의 유용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mediating role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among anxiety of retirement and ag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men, respectively. The final data of 255 working men, aged 40 to 64 from three cities in South Korea, was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6.0. Four research variables were assessed with retirement anxiety, ageing anxiety,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tirement anxie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middle-aged me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and ageing anxiety had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Second, a significant full-mediational path throug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from ageing anxiety to psychological well-being was identified. The present findings imply the distinctive role of retirement- and ageing anxiety and support the contribution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for ageing anxiety among middle-aged men.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기질이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자기 분화의 조절 효과
- 부정적 양육태도 및 친구관계가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 및 성별간 다집단 분석
- 맞벌이 가정의 초등자녀 방학돌봄 잠재유형과 유형별 예측요인 및 양육스트레스
- 너무 빨리 어른이 되어야만 하는 아이들: 코로나19 시대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진로와 자립 준비과정
- 만화 그리기를 활용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된 무기력을 중심으로
-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초산모의 그릿(Grit)과 산후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시기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 간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코로나19 시기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어머니의 유아기 양육행동이 초등학교 1학년 자녀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정서문제의 매개효과 검증
- 중년기 남성의 은퇴불안과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30∼40대 자녀양육기 부모의 자녀돌봄, 문화․여가활동 시간, 성역할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활시간 사용의 양태를 중심으로
- 부모의 도덕적 이탈 유도가 청소년의 도덕적 이탈을 통해 청소년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인간형 인공지능 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