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맞벌이 가정의 초등자녀 방학돌봄 잠재유형과 유형별 예측요인 및 양육스트레스
이용수 344
- 영문명
- Child Care During Elementary School Breaks in South Korean Dual-Earner Families: Profiles, Antecedents, and Parenting Stress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김수정 박혜준 이재림 김영선 이보람 노신애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29권 제3호, 113~13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방학기간 초등돌봄 문제에 주목하여 돌봄 방식을 지표로 맞벌이 가정의 초등자녀 방학돌봄 잠재유형, 유형분류의 예측요인과 유형별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자녀를 둔 서울시 거주 맞벌이 부모 660명(부: 253명, 모: 407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잠재계층분석의 3단계 접근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자녀 방학돌봄의 잠재유형은 ‘사교육-가정돌봄형(46.8%)’, ‘공적돌봄-사교육형(20.6%)’, ‘가정돌봄 위주형(20.0%)’, ‘돌봄공백-사교육형(12.6%)’의 4가지로 도출되었다. 둘째, 자녀의 학년이 높을수록 ‘사교육-가정돌봄형’보다 ‘돌봄공백-사교육형’을, ‘가정돌봄 위주형’보다 ‘사교육-가정돌봄형’을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공적돌봄-사교육형’보다 ‘사교육-가정돌봄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셋째, ‘가정돌봄 위주형’의 양육스트레스 수준이 ‘사교육-가정돌봄형’과 ‘돌봄공백-사교육형’보다 낮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의 개별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돌봄지원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ssify the latent types of dual-earner families’ child care during elementary school breaks, and to examine the antecedents of the profiles and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in South Korea. We analyzed the survey data of 660 dual-earner families (253 fathers, 407 mothers) living in Seoul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the latent class analysis with a 3-step approach. As a result, four types were derived: (a) private education-home care (48.6%), (b) public care-private education (20.6%), (c) home care-oriented (20.0%), and (d) self-care-private education (12.6%). Higher grades of children were related to the ‘self-care-private education’ group compared to the ‘private education-home care’ group, and the ‘private education-home care’ group compared to the ‘home care-oriented’ group. Also, higher household income was related to the ‘private education-home care’ group rather than the ‘public care-private education’ group. As for parenting stress, the ‘home care-oriented’ group reported a lower level of parenting stress than the ‘private education-home care’ and ‘self-care-private education’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need for various types of childcare support reflecting the needs of individual dual-income families with school-age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기질이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자기 분화의 조절 효과
- 부정적 양육태도 및 친구관계가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 및 성별간 다집단 분석
- 맞벌이 가정의 초등자녀 방학돌봄 잠재유형과 유형별 예측요인 및 양육스트레스
- 너무 빨리 어른이 되어야만 하는 아이들: 코로나19 시대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진로와 자립 준비과정
- 만화 그리기를 활용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된 무기력을 중심으로
-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초산모의 그릿(Grit)과 산후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시기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 간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코로나19 시기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어머니의 유아기 양육행동이 초등학교 1학년 자녀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정서문제의 매개효과 검증
- 중년기 남성의 은퇴불안과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30∼40대 자녀양육기 부모의 자녀돌봄, 문화․여가활동 시간, 성역할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활시간 사용의 양태를 중심으로
- 부모의 도덕적 이탈 유도가 청소년의 도덕적 이탈을 통해 청소년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인간형 인공지능 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