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0∼40대 자녀양육기 부모의 자녀돌봄, 문화․여가활동 시간, 성역할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활시간 사용의 양태를 중심으로
이용수 411
- 영문명
- The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 Time Used for Childcare and Cultural/Leisure Activities on Life Satisfaction of 30s and 40s Parents in Their Child Rearing Stage: The Aspects of Time Use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최지수(Choi, Jisu) 최나야(Choi, Naya)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29권 제3호, 281~31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30∼40대 자녀양육기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돌봄과 문화․여가활동 시간의 사용 양태를 파악하고, 부모의 생활시간 사용과 성역할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2019년 생활시간조사」자료를 Stata 14.0과 SPSS 22.0, Excel 2016을 사용하여 요인분해,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다변량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평일에는 2시간 반, 주말에는 1시간 더 자녀를 돌보고, 문화․여가활동 시간은 주말에 1시간 더 짧았다. 부모 모두 자녀돌봄 중 ‘신체적 돌보기’, 문화․여가활동 중 ‘미디어를 이용한 여가활동’에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다. 부모 모두 평등적 성역할 태도를 지닌 경우 아버지의 자녀돌봄 시간이 가장 길었고, 부모 모두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가진 경우 어머니의 문화․여가활동 시간이 가장 길었다. 아버지의 성역할 태도만 평등적일 때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아버지의 삶의 만족도에는 본인과 배우자의 문화․여가활동 시간이,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에는 성역할 태도 유형이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자녀양육기 부모의 시간 사용과 성역할 태도 유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s the aspects of childcare, and cultural/leisure activities time use of 30s and 40s parents in their child rearing stage, and examines the effects of parents’ lifetime use and gender role attitudes on life satisfaction. Statistics Korea’s time diaries from the 2019 Korean Time Use Survey were used. Factor decomposition,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tata 14.0, SPSS 22.0, and Excel 2016. Mothers took care of their children for two and a half hours more on weekdays and one hour more on weekends than fathers. The time for cultural/leisure activities was shorter by one hour on weekends. Both parents devote the most time to ‘physical care’ among childcare and ‘activities using media’ among cultural/leisure activities. When both parents had an egalitarian gender role attitude, their fathers took the longest time to care for their children. When both parents had a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their mothers spent the longest time on cultural/leisure activities. When only the father had an egalitarian gender role attitude, the mother’s life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The father’s life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the cultural/leisure activities time of himself and his spouse, and the parent’s gender role attitude type had an effect on the mother’s life satisf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기질이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자기 분화의 조절 효과
- 부정적 양육태도 및 친구관계가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 및 성별간 다집단 분석
- 맞벌이 가정의 초등자녀 방학돌봄 잠재유형과 유형별 예측요인 및 양육스트레스
- 너무 빨리 어른이 되어야만 하는 아이들: 코로나19 시대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진로와 자립 준비과정
- 만화 그리기를 활용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된 무기력을 중심으로
-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초산모의 그릿(Grit)과 산후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시기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 간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코로나19 시기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어머니의 유아기 양육행동이 초등학교 1학년 자녀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정서문제의 매개효과 검증
- 중년기 남성의 은퇴불안과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30∼40대 자녀양육기 부모의 자녀돌봄, 문화․여가활동 시간, 성역할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활시간 사용의 양태를 중심으로
- 부모의 도덕적 이탈 유도가 청소년의 도덕적 이탈을 통해 청소년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인간형 인공지능 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