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산모의 그릿(Grit)과 산후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이용수 393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arenting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Postpartum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곽호경(Gwak, Hogyung) 조하나(Jo, Hana) 양수진(Yang, Sujin)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29권 제3호, 71~8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산모의 그릿이 산후우울을 예측하는지 확인하고, 그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두 유형과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0-2세 영아-걸음마기 자녀를 양육하는 초산모 231명의 설문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PROCESS macro(Model 80)를 이용한 이중매개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변인들 간의 상관이 유의하였으며, 그릿이 산후우울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지는 않았다. 둘째,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양육스트레스를 각각 매개하여 산후우울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하였으며, 그릿에서 적응적/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양육스트레스를 순차적으로 거친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초산모의 그릿이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적응성을 높이거나 부적응성을 낮춤으로써 양육스트레스를 줄이고, 그로 인해 산후우울이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산모의 산후우울을 낮추기 위한 기제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릿과 같은 개인 내적 자원의 긍정적 영향력을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Using a multiple mediation model, this study examines the two type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parenting stress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postpartum depression. Two hundred and thirty-one first-time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aged 0-2 years participated and the self-reported data were analyzed by Process macro (Model 80).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rect effect of grit on postpartum depression but both simple and double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parenting stress were significant, The relation between grit and postpartum depression was further mediated by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parenting stres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grit can protect first-time mothers from postpartum depression by enhancing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destressing parenting stress. These findings are further discussed in light of grit as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for first-time mothers’ adaption and well-be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기질이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자기 분화의 조절 효과
- 부정적 양육태도 및 친구관계가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 및 성별간 다집단 분석
- 맞벌이 가정의 초등자녀 방학돌봄 잠재유형과 유형별 예측요인 및 양육스트레스
- 너무 빨리 어른이 되어야만 하는 아이들: 코로나19 시대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진로와 자립 준비과정
- 만화 그리기를 활용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된 무기력을 중심으로
-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초산모의 그릿(Grit)과 산후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시기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 간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코로나19 시기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어머니의 유아기 양육행동이 초등학교 1학년 자녀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정서문제의 매개효과 검증
- 중년기 남성의 은퇴불안과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30∼40대 자녀양육기 부모의 자녀돌봄, 문화․여가활동 시간, 성역할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활시간 사용의 양태를 중심으로
- 부모의 도덕적 이탈 유도가 청소년의 도덕적 이탈을 통해 청소년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인간형 인공지능 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