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정적 양육태도 및 친구관계가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 및 성별간 다집단 분석
이용수 354
- 영문명
- The Effect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s on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y and Multigroup Analysis between Boys and Girls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민미희(Min, Mi-Hee)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29권 제3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및 아동의 친구관계와 학업열의 간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경로에서 남녀 아동 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초등학교 4학년 2,399명(남아 1,193명, 여아 1,20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 양육태도 및 친구관계는 스마트폰 의존과 학업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스마트폰 의존은 학업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양육태도와 친구관계의 어려움이 직접 학업열의를 낮출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의존의 수준을 높임으로써 학업열의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 양육태도, 친구관계 및 스마트폰 의존이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경로는 아동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 수준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부정적 양육태도, 친구관계, 스마트폰 의존, 학업열의 간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매개변수로서 스마트폰 의존이 성별에 관계없이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와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peer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dependency on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399 4th graders(1,193 boys, 1,206 girls)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reated. In addition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egative parenting attitude, peer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dependenc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cademic engagement. Second, through smartphone dependency as a mediator,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s influenced academic engagement. Third, gender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variable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negative parenting attitude, peer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dependency was important as a personal factor for children to improve academic engagement.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parents, peer, and smartphone dependenc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tter adapt to their school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기질이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자기 분화의 조절 효과
- 부정적 양육태도 및 친구관계가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 및 성별간 다집단 분석
- 맞벌이 가정의 초등자녀 방학돌봄 잠재유형과 유형별 예측요인 및 양육스트레스
- 너무 빨리 어른이 되어야만 하는 아이들: 코로나19 시대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진로와 자립 준비과정
- 만화 그리기를 활용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된 무기력을 중심으로
-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초산모의 그릿(Grit)과 산후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시기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 간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코로나19 시기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어머니의 유아기 양육행동이 초등학교 1학년 자녀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정서문제의 매개효과 검증
- 중년기 남성의 은퇴불안과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30∼40대 자녀양육기 부모의 자녀돌봄, 문화․여가활동 시간, 성역할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활시간 사용의 양태를 중심으로
- 부모의 도덕적 이탈 유도가 청소년의 도덕적 이탈을 통해 청소년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인간형 인공지능 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