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간형 인공지능 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분석
이용수 769
- 영문명
-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the Use of Humanoid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이보람(Lee, Boram) 안혜령(An, Hye-Ryung) 조우미(Cho, Woo-Mi)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29권 제3호, 181~21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인간형 인공지능 로봇을 도입하는 것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활용방안, 그리고 실제적 요구를 탐색하고자 유아교사 22명을 대상으로 6회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수행하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인공지능 로봇의 활용방안’, 그리고 ‘인공지능 로봇의 활용을 위한 요구사항’으로 정리하였다. 먼저, 유아교사들은 인공지능 로봇과 같은 첨단기기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 양가적 태도를 보였다. 사회적 요구에 발맞춘 변화, 교사의 업무부담 경감, 교사교육과 장학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인식과 인공지능이 인간 교사의 역할을 대체할 것에 대한 두려움, 인공지능 기기가 유아의 발달에 적합할지에 대한 의구심, 개인정보 수집과 보안의 문제,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대한 욕구를 저해할 것에 대한 우려와 관련한 부정적 인식이 있었다. 인공지능 로봇의 활용방안은 유아교사의 주요 직무인 보호와 양육, 교육과정 운영과 교수, 유아의 평가, 상담 및 정서적 지원, 행정업무 지원의 다섯 가지 영역에서 교사가 인공지능 로봇에게 권한을 얼마나 부여할 것인지에 따라 기대하는 역할과 기능의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로봇이 유아 교실 내에서 실효성 있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로봇이 교실 내 구성원으로 인식될 수 있을 만한 충분한 시간, 유아의 눈높이에 맞는 콘텐츠 탑재, 교사를 위한 매뉴얼과 구체적인 활용방안 제시, 개인정보 보호 및 윤리적인 측면의 법적 근거가 마련, 그리고 로봇의 내구성과 안전에 대한 보장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 연구는 유아의 배움과 발달을 증진할 수 있는 도구로서 유아교육 현장에서 인간형 지능 로봇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utilization plan, and practical needs for introducing humanoid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Six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enty-two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three main themes. First, teachers showed an ambivalent attitude toward the use of advanced devices such as robots. Although there were positive perceptions such as appropriate attempts at social changes, reducing the teachers’ burden, and enhancing teachers’ professionalism, most teachers expressed some concerns and fears as they encountered the negative aspects of AI dealt with in the media without actual experiences. Second, the robot utilization plan varied in roles and functions that were expected by teachers, which depend on how much authority they would give to the robots. However, this appeared in five main areas of teachers’ responsibilities: caregiving, teaching, assessment, counseling and administrative work. The study suggests that careful preparation is necessary based on the governance of industrial, academic, government and related entities as well as teacher education about the advantages and functions of robots for introducing humanoid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effectively and professionally within classroo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기질이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자기 분화의 조절 효과
- 부정적 양육태도 및 친구관계가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 및 성별간 다집단 분석
- 맞벌이 가정의 초등자녀 방학돌봄 잠재유형과 유형별 예측요인 및 양육스트레스
- 너무 빨리 어른이 되어야만 하는 아이들: 코로나19 시대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진로와 자립 준비과정
- 만화 그리기를 활용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된 무기력을 중심으로
-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초산모의 그릿(Grit)과 산후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시기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 간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코로나19 시기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어머니의 유아기 양육행동이 초등학교 1학년 자녀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정서문제의 매개효과 검증
- 중년기 남성의 은퇴불안과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30∼40대 자녀양육기 부모의 자녀돌봄, 문화․여가활동 시간, 성역할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활시간 사용의 양태를 중심으로
- 부모의 도덕적 이탈 유도가 청소년의 도덕적 이탈을 통해 청소년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인간형 인공지능 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