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시기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인과관계
이용수 393
- 영문명
-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utonomy Support,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Using Two-Level Growth Curve Modeling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하아영(Ha, A Yeong ) 조한익(Cho, Han Ik)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29권 제3호, 313~33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시기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학교 1학년 패널 2,590명이며 남학생은 1,405명, 여학생은 1,185명이다. 연구결과, 학생수준에서 중학교 시기 부모의 자율성지지 초깃값은 학업참여의 초깃값과 변화율, 학업성취도 초깃값에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의 자율성지지 변화율은 학업참여 변화율과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영향을 미쳤다. 학업참여 초깃값은 학업성취도의 초깃값과 변화율에, 학업참여 변화율은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영향을 미쳤다. 학교수준에서 중학교 시기 부모의 자율성지지 초깃값은 학업참여 초깃값에, 자율성지지 변화율은 학업참여 변화율에 영향을 미쳤다. 학업참여 초깃값은 학업성취도 초깃값에, 학업참여 변화율은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영향을 미쳤다. 학생수준에서 부모의 자율성지지 초깃값은 학업참여 초깃값과 변화율을 매개로 학업성취도 초깃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자율성지지 변화율은 학업참여 변화율을 매개로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교수준에서 부모의 자율성지지 초깃값은 학업참여 초깃값을 매개로 학업성취도 초깃값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중학교 시기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다층 잠재성장모형으로 확장하여 연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study analyzes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utonomy support,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pplying two-level growth curve model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90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t the student level,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affected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engagement and achievement.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engagement affected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 At the school level,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affected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autonomy support.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affected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 At the student and school level, the initial value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e mediation of academic engagement. This study extends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utonomy support,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using two-level growth curve model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기질이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자기 분화의 조절 효과
- 부정적 양육태도 및 친구관계가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 및 성별간 다집단 분석
- 맞벌이 가정의 초등자녀 방학돌봄 잠재유형과 유형별 예측요인 및 양육스트레스
- 너무 빨리 어른이 되어야만 하는 아이들: 코로나19 시대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진로와 자립 준비과정
- 만화 그리기를 활용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된 무기력을 중심으로
-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초산모의 그릿(Grit)과 산후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시기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 간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코로나19 시기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어머니의 유아기 양육행동이 초등학교 1학년 자녀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정서문제의 매개효과 검증
- 중년기 남성의 은퇴불안과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30∼40대 자녀양육기 부모의 자녀돌봄, 문화․여가활동 시간, 성역할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활시간 사용의 양태를 중심으로
- 부모의 도덕적 이탈 유도가 청소년의 도덕적 이탈을 통해 청소년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인간형 인공지능 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