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기질이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자기 분화의 조절 효과
이용수 447
- 영문명
- The Effect of Children’s Temperament on Maternal Attach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Self-Differentiation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김세리(Kim, Se-Ri) 이완정(Lee, Wan-Jeong)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29권 제3호, 89~11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 간 관계에서 어머니 자기 분화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서 편의표집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59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배경 변인을 통제한 후 유아의 기질적 특성, 즉 외향성, 부정적 정서, 의도적 통제가 자녀에 대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자기 분화가 조절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의 기질 변인 중 의도적 통제와 어머니의 자기 분화는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자기 분화는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의 의도적 통제 수준이 낮더라도 어머니의 자기 분화 수준이 높을 경우, 자녀의 기질이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에 미치는 부적 영향력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의 자기 분화 등 정서 심리적 특성을 고려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자녀와 어머니가 함께 성장하면서 부모로서의 역량 증진을 키워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self-different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maternal attachment. In this study, 259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After controlling for background variables related to maternal attachm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self-different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maternal attach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a higher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mong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and a higher mothers’ self-differentiation resulted in a higher level of maternal attachment, and mothers’ self-differentiation moderates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maternal attachment. That is, even if the level of children’s effortful control was low, the results showed that a higher mothers’ self-differentiation tendency resulted in a higher positive effect of children’s temperament on maternal attach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 parenting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mothers’ self-differentiation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mothers’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adaptive contribution of the children’s temperament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기질이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자기 분화의 조절 효과
- 부정적 양육태도 및 친구관계가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 및 성별간 다집단 분석
- 맞벌이 가정의 초등자녀 방학돌봄 잠재유형과 유형별 예측요인 및 양육스트레스
- 너무 빨리 어른이 되어야만 하는 아이들: 코로나19 시대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진로와 자립 준비과정
- 만화 그리기를 활용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된 무기력을 중심으로
-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초산모의 그릿(Grit)과 산후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시기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 간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코로나19 시기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어머니의 유아기 양육행동이 초등학교 1학년 자녀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정서문제의 매개효과 검증
- 중년기 남성의 은퇴불안과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30∼40대 자녀양육기 부모의 자녀돌봄, 문화․여가활동 시간, 성역할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활시간 사용의 양태를 중심으로
- 부모의 도덕적 이탈 유도가 청소년의 도덕적 이탈을 통해 청소년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인간형 인공지능 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