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학교 교사에 대한 학부모의 신뢰 척도 개발

이용수 188

영문명
Development of Parents’ Trust in Teachers Scale in Secondary School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김대현(Kim, DaeHyun) 최류미(Choi, RyuMi) 박화춘(Park, HwaChoon)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28권 제4호, 73~9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중등학교 교사에 대한 학부모의 신뢰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국내외의 신뢰와 신뢰척도에 관한 선행연구와 B지역 학부모의 인터뷰를 토대로 신뢰척도문항을 수집하였고, 수집된 문항을 유목화한 후 학부모가 바라본 교사신뢰에 관련된 77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전문가집단을 통해 수차례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후 문항을 수정, 삭제, 추가한 후 50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중등학교 학부모를 통해 안면타당도를 검증한 후 내용타당도 지수를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50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50개의 예비문항을 전국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41명의 참여자가 연구를 위해 유용한 표본자료를 제공하였다. 척도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주성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최종척도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각 요인별로 알파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중등학교 학부모가 인식하는 교사신뢰척도는 총 20문항이 선택되었고 5점 리커트 척도이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각각 ‘신뢰형성조건: 학생-교사’, ‘신뢰형성조건: 학부모-교사’, ‘신뢰형성결과’로 명명되었다. 추출된 요인구조를 Mplus7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χ²(df)=507.083(67), SRMR=0.029, TLI=.928, CFI=.937로 모델적합지수는 만족되었다. 내적 신뢰도는(Cronbach’s α)는 신뢰형성조건: 학생-교사=.973, 신뢰형성조건: 학부모-교사=.950, 신뢰형성결과요인=.821로 각각 나타나 본 척도는 학부모가 바라본 교사신뢰를 측정하는데 타당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의 결과는 학교공동체에서 학부모-교사 관계의 특성을 이해하고, 교사에 대한 중등학교 학부모의 신뢰 수준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Parents’ Trust in Teachers Scale (PTTS)-to better understand how parents trust in teachers in the context of secondary schools in South Korea. Method: First, based on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trust and trust measures and interviews of parents in secondary schools, 77 initial items were developed. Content validity of the initial items by a panel of expert judges was accomplished and then face validity was examined by a group of parents. After content and face validity were examined, 50 items were selected to measure parents’ trust in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A total of 241 parents provided usable data. To validate the instrument, a series of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 and Mplus7 and the data were intentionally separated into two samples: one for EFA and the other for CFA. Finall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nstrument was examined using Cronbach’s α. Results: The results of EFA and CFA suggested a three-factor model with the final 20 items retained with a 5-point Likert scale, and the three factors were name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α=.973), parent-teacher partnership (α=.950), and the results of the trust formation (α=.821), respectively. The model fit indices produced were χ ²(167)=507.083, p-value<.001, CFI=.937; SRMR=0.029; and TLI=.928 each. Conclusion: The Parents’ Trust in Teachers Scale can be used as a useful instrume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teacher relationship in the school community and to measure the trust level of parents in secondary school for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현(Kim, DaeHyun),최류미(Choi, RyuMi),박화춘(Park, HwaChoon). (2018).중등학교 교사에 대한 학부모의 신뢰 척도 개발. 교육혁신연구, 28 (4), 73-99

MLA

김대현(Kim, DaeHyun),최류미(Choi, RyuMi),박화춘(Park, HwaChoon). "중등학교 교사에 대한 학부모의 신뢰 척도 개발." 교육혁신연구, 28.4(2018): 73-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