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대 역량 교육의 관점에서 본 쉴러의 미적 교육
이용수 243
- 영문명
-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Schiller’s Aesthetic Education in Terms of Core Competenc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주대창(DaeChang Ju)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30호, 201~2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1.16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의 음악교육에서 미적 교육은 필수적 사항으로 나타난다. 아름다움을 체험함으로써 인간의 성숙을 이끌어내는 음악교육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며, 이는 2015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밝히고 있는 핵심 역량의 신장에도 나타난다. 하지만 미적 교육이 본래 어떤 의도에서 나온 것이며 새롭게 제기되는 역량 교육이 그것과 어떤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 교과에서 역량 교육이 지닌 의미를 살펴보고, 그것을 미적 교육의 지향점에 투영시켜 시사하는 바를 밝히고자 하였다. 미적 교육의 원래 의도에 따르면 인간은 아름다움으로 자유를 향유하고 이러한 품성의 인재에 의하여 아름다운 사회가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미적 교육은 현대 역량 교육이 지향하는 바와 맥을 같이하며, 미적 교육으로 역량 교육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다. 역량 중심의 현대 학교 음악교육은 아름다움의 체험이 개인을 위한 학습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기여를 위한 품성으로 발전하도록 수행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Aesthetic education is essential also in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because music education these days comes into action by providing effective musical experience to cultivate core competences which seem to be related to the musical beauty. However it is still not clear in the modern music educational field to confirm what is the original intention of core competence education. Even aesthetic education in the school music education is one of hot issues to promote converging competences of students which aim for the futur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es in the new 2015 curriculum for music class and philosophical frames of Schiller’s aesthetic education who was the inventor of this term ‘aesthetic education’. His idea on aesthetic education was founded on the concept to develope the sound society by means of sound individuals. Accordingly today’s music education in school should not rely on instructing only musical ability but go forward to make progress for aesthetic education that enhances a bond of social sympathy resulted from individual freedom.
목차
Ⅰ. 서론
Ⅱ. 현대 학교 음악교육의 동향
Ⅲ. 미적 교육의 인재상
Ⅳ. 미적 교육에 비추어 본 음악 교과의 핵심 역량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도르프교육기관의 음악교육특성
- ‘유표성’을통한음악에서의의미고찰
- 음악교원연수프로그램분석및개선방향탐색
- 현행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내 합창곡 분석 연구
- ‘음악하기(Musicing)’ 활동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학교파트너십을위한지역사회 음악교육단체사례분석
- 꿈의 오케스트라 평가 내용 및 방법 개선
- 음악교육에서의스팻(SPAT)기반플립러닝의활용사례연구
- 예비음악교사들을 위한 피아노 반주법 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
- 에셔의 변형패턴이 투영된 리게티의 작품 분석
- 현대 역량 교육의 관점에서 본 쉴러의 미적 교육
- 관악기 연주가 유발할 수 있는 구강 안면 질환
- 고령화 시대와 독일의 노인음악교육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