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교원연수프로그램분석및개선방향탐색
이용수 326
- 영문명
-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music teacher training programs - Focused o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박지현(Jihyun PARK)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30호, 35~5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1.16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사교육의 중요성 측면에서 음악 교원 대상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교원 연수는 각시도 교육청, 대학 및 기관 산하의 교육연수원에서 이루어지는데, 본 연구는 보다 공공성을 띠는 시도 교육청 주관 교원연수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2015년 일 년 동안 17개 시도 교육청에서 운영한 음악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연수 종류(직무, 자격, 특별 등), 연수 대상(유‧초‧중등), 연수 내용(음악교육 분야별), 연수 방법(집합, 원격 등) 등의 분석틀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음악 교원 연수 프로그램 분석을 통하여 추후 음악교사 교육을 위해 어떤 연수가 보완 및 개선되어야 하는지, 연수 대상, 내용, 방법, 운영 및 체제의 관점에서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teacher training is more important factor in respect that emphasis is increasingly placed on autonomous application and various practice of curriculum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on analyzing music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grasp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eacher training. For this objective, various literatures and materials were analyzed and examined: music teacher training programs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2015, training schedules for teachers, and related legislation.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aspects of types, subjects, contents, and methods of the training programs. As a result,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music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1) include teachers of special schools and operate harmoniously at school levels, 2) intensify more importantly experience-based activity than simplicity knowledge or contents, and 3) operate stably through the connec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for the music teacher training program such as schools, universities and music learning communities and research associ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음악 교원 연수 프로그램 분석 결과
Ⅴ. 음악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선 방향
Ⅵ.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도르프교육기관의 음악교육특성
- ‘유표성’을통한음악에서의의미고찰
- 음악교원연수프로그램분석및개선방향탐색
- 현행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내 합창곡 분석 연구
- ‘음악하기(Musicing)’ 활동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학교파트너십을위한지역사회 음악교육단체사례분석
- 꿈의 오케스트라 평가 내용 및 방법 개선
- 음악교육에서의스팻(SPAT)기반플립러닝의활용사례연구
- 예비음악교사들을 위한 피아노 반주법 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
- 에셔의 변형패턴이 투영된 리게티의 작품 분석
- 현대 역량 교육의 관점에서 본 쉴러의 미적 교육
- 관악기 연주가 유발할 수 있는 구강 안면 질환
- 고령화 시대와 독일의 노인음악교육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