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음악교사들을 위한 피아노 반주법 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
이용수 301
- 영문명
- A Study on Music Teacher’s Perceptions of Piano Accompanying for Preservice Music Teacher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함인아(Ina Ham)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30호, 161~18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1.16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음악교사들을 위한 필수 과목인 피아노 반주법 교육의 필요성, 내용과 방법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10개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피아노 반주법 교육의 현황과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본 연구를 위한 기초 설문을 설계하였고, 전문가 3명의 검토를 거쳐 수정 후,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예비음악교사들에게 조언을 줄 수 있는 현직 음악교사들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2016년 열린 1급정교사 자격연수에 참가한 총 101명의 음악교사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85장의 설문지가 수거되어 84%의 수거율을 보였고, 통계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과에 대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x²)을 실시하였다. 설문에 참가하지 않은 현직 음악교사 5명과 현재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에서 피아노 반주법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자 2명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내용을 보강하여 예비음악교사들을 위한 피아노 반주법 교육의 필요성,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실태 분석과 인식, 그리고 실천적 방향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실습 위주의 교수법이 필요하고 피아노 반주법과 다른 음악 과목과의 병행 교육, 그리고 피아노 반주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전환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music teacher’s perceptions of the need, contents, and methods of piano accompanying education for preservice music teacher. The questionnaire was made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of piano accompanying and reviewed by three experts. A total 10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ut to music teachers and 85 were returned back. Numerical data were stored using SPSS software. Five more music teachers, not given questionnaire, and two piano accompanying instructors of university are interviewed for complement findings from questionnaire in depth. Findings reveal that high rate of those questioned perceives piano accompanying is one of the crucial education courses for preservice music teacher, though those questioned are not assured with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iano accompanying education. As a result, three suggestions are preposed. First, piano accompanying education needs to focus on practices and exercises during the courses. Second, piano accompanying and other music courses are needed to integrat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Third, music teacher’s understanding towards piano accompanying needs to be chang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피아노 반주법 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도르프교육기관의 음악교육특성
- ‘유표성’을통한음악에서의의미고찰
- 음악교원연수프로그램분석및개선방향탐색
- 현행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내 합창곡 분석 연구
- ‘음악하기(Musicing)’ 활동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학교파트너십을위한지역사회 음악교육단체사례분석
- 꿈의 오케스트라 평가 내용 및 방법 개선
- 음악교육에서의스팻(SPAT)기반플립러닝의활용사례연구
- 예비음악교사들을 위한 피아노 반주법 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
- 에셔의 변형패턴이 투영된 리게티의 작품 분석
- 현대 역량 교육의 관점에서 본 쉴러의 미적 교육
- 관악기 연주가 유발할 수 있는 구강 안면 질환
- 고령화 시대와 독일의 노인음악교육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