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에셔의 변형패턴이 투영된 리게티의 작품 분석

이용수 104

영문명
An analysis of works of Ligeti that reflects Escher’s metamorphosis pattern
발행기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저자명
곽현규(Hyungyu Kwag)
간행물 정보
『음악교육공학』제30호, 183~20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1.16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레싱(G.E.Lessing, 1729~1781)에 의해 공간과 시간으로 이분화 되었던 예술은 4차원의 시공간 개념이 확대되면서 더 이상 특정 분야의 영역으로 규정할 수 없게 되었다. 예술 작품들은 시간화된 공간 혹은 공간화된 시간으로의 시도를 통해 영역을 확대해 나갔다. 대표적으로 에셔는 판화라는 공간예술에 시각화된 시간을 표현하고자 했으며 리게티는 음악 작품이라는 시간예술에 시각화된 공간을 표현하고자 했다. 에셔와 리게티의 작품에는 결국 시공간이 동시에 존재한다는 공통점이 있는데, 뿐만 아니라 두 사람은 변형이라는 기묘한 특성을 인식하는 태도가 구조적으로 매우 유사했다. 에셔가 표현했던 것처럼 리게티의 기묘한 청각적, 지각적 반응을 일으키는 음향덩어리들이 변형된 패턴들을 만들며 작품 속에 복잡하게 상호 결합되어 병치, 혼합시킴으로써 전경과 배경의 양자를 교환 가능하게 하는 이중분할 구조를 만들었다. 또한 복잡한 폴리포니적인 성부의 모티브들이 반복적인 변형의 꼬리를 물며 다시 순환하는 재귀순환변형구조의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에셔가 추구했던 예술세계와 그 특징이 리게티의 작품에 투영됨에 주목하고, 회화의 영역과 음악의 영역에서 각각 서로 다른 방법으로 추구하던 가상과 현실의 공간, 변형 등을 새로운 관점에서 파악해볼 수 있는 의미 있는 기회를 갖고자 했다.

영문 초록

Art, which was once dichotomized into space and time by G.E. Lessing (1729~1781), has expanded its temporal and spatial concept of 4D. As a result, it cannot be regulated to any specific area. Artistic works have expanded their area by means of temporal space or spatial time. For example, Escher attempted to express visualized time on the engraving, a spatial art. And, Ligeti attempted to express visualized space to temporal art, which is music art. Works of Escher and Ligeti have a common feature, which is co-existence of time and space in their work. In addition, they had structurally similar attitude in their awareness of peculiar characteristics, namely metamorphosis. Just as Escher did, Ligeti created metamorphosis patterns using clusters that caused auditory and cognitive response, and combined them into work in a complicated and combined way for juxtaposition and mix. In doing so, he created a double partition structure enabling to exchange front view and background. It has reflexive circulatory metamorphosis structure in which complicated polyphony part motives have metamorphosis connection and circulation. Accordingly,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artistic world and features of Escher are reflected into the works of Ligeti. And, the study attempted to have an opportunity to figure out virtual and real space and metamorphosis, which were pursuit by different methods in the areas of painting and music.

목차

Ⅰ. 서론
Ⅱ. 이중 분할 구조 : 전경과 배경
Ⅲ. 모티브의 재귀순환변형구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현규(Hyungyu Kwag). (2017).에셔의 변형패턴이 투영된 리게티의 작품 분석. 음악교육공학, (30), 183-200

MLA

곽현규(Hyungyu Kwag). "에셔의 변형패턴이 투영된 리게티의 작품 분석." 음악교육공학, .30(2017): 183-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