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roving Content and Method of Evaluation for Orchestra of Drea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김경태(Kyoungtai Kim) 최동연(Dongyeon Choi) 이보림(Bolim Lee) 윤성원(Sungwon Yoo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30호, 117~14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1.16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형 엘 시스테마 ‘꿈의 오케스트라’ 평가체제에 대한 존치의 당위성을 검토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수정 제안의 근거를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그리하여 선정된 연구 참여자인 8명의 교육전문가는 ‘꿈의 오케스트라 모니터링 평가지’를 분석한 후, 커크패트릭(Kirkpatrick)의 4단계 평가모형 중 2단계 즉, ‘반응’, ‘학습’의 수준까지 적용·개발된 리커트(Likert) 5점 척도의 폐쇄형 및 개방형 설문 14 문항에 응답하였다. 연구자는 설문지 회수후, 삼각측정법(Triangulation)의 관점에서 그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고, 개선 방법에 대한 제언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및 학부모의 모니터링 평가모형이 추가적으로 제안되어야 한다. 둘째, 상시 모니터링 평가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꿈의 오케스트라의 시작과 함께 세워졌던 기존의 목표와 원칙을 근간으로 한 평가문항의 검토 및 수정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egitimacy of evaluation system for the Korean El sistema “Orchestra of Dream”, and then to propose modifications if it’s needed. The 8 selected education experts analyzed monitoring evaluation form for “Orchestra of Dream”, and then responded to 14 closed and open questionnaire of Likert 5 point scale which is applied to the level of ‘Response’ and ‘Learning’ in Kirkpatrick’s 4 stage evaluation model. Therefore, after the questionnaire retrieval,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triangulation method and proposed som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First, a monitoring and evaluation model for students and parents should be additionally proposed. Second, it is necessary to switch to more frequent monitoring systems. Finally, it is required to review and revise the evaluation items based on the existing goals and principles that were established with the start of “Orchestra of Drea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도르프교육기관의 음악교육특성
- ‘유표성’을통한음악에서의의미고찰
- 음악교원연수프로그램분석및개선방향탐색
- 현행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내 합창곡 분석 연구
- ‘음악하기(Musicing)’ 활동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학교파트너십을위한지역사회 음악교육단체사례분석
- 꿈의 오케스트라 평가 내용 및 방법 개선
- 음악교육에서의스팻(SPAT)기반플립러닝의활용사례연구
- 예비음악교사들을 위한 피아노 반주법 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
- 에셔의 변형패턴이 투영된 리게티의 작품 분석
- 현대 역량 교육의 관점에서 본 쉴러의 미적 교육
- 관악기 연주가 유발할 수 있는 구강 안면 질환
- 고령화 시대와 독일의 노인음악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