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하기(Musicing)’ 활동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83
- 영문명
- Effects of Musicing Activities Program on the Musical Self-Concept and Music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방은영(Eunyoung Ba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30호, 73~9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1.16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하기(musicing)’ 활동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4년제 C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유아음악교육 과목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48명을 대상으로 15주 동안 ‘음악하기(musicing)’ 활동에 중점을 둔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교수효능감을 사전·사후 2회의 검사도구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음악하기(musicing)’ 활동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음악과 언어와 신체의 통합적 음악경험 :‘들리는 소리를 보이는 소리로, 보이는 소리를 들리는 소리로’, 음악의 주요개념인 리듬, 가락, 음색, 형식, 조직, 표현적 질을 강화한 수업 및 유아음악교육 내용과 생활주제와의 연계성 고찰 및 적용하기와 창조적 음악행위(음악 듣기, 신체움직임 하기, 악기 연주하기, 언어 및 노래로 반응하고 표현하기)의 경험이다. 교수전략은 모델링, 토의, 문제 해결, 설명 및 시연, 모의수업, 피이드백이었으며 활동형태는 연주하기, 즉흥연주하기, 편곡하기, 지휘하기, 음악적 해석하기. 감상하기, 토론하기의 7가지였다. 연구결과 첫째,‘음악하기(musicing)’ 활동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음악하기(musicing)’ 활동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음악하기’ 활동프로그램은 음악적 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바꿔주고 음악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다는 데서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sicing activities program on the musical self-concept and music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8 select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who were taking a course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For 15 weeks, they took classes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at centered around musicing activities program. To determine the results of this educati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tested on musical self-concept and music teaching efficacy twice using related instruments, once each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First, the musicing activities program exercis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ange of the musical self-concept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 musicing activities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hange of their teaching efficacy in music. The findings of the study have great implications for how to nurtu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at it found the musicing activities program make it possible to change musical self-concept for the better and to improve music teaching 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도르프교육기관의 음악교육특성
- ‘유표성’을통한음악에서의의미고찰
- 음악교원연수프로그램분석및개선방향탐색
- 현행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내 합창곡 분석 연구
- ‘음악하기(Musicing)’ 활동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학교파트너십을위한지역사회 음악교육단체사례분석
- 꿈의 오케스트라 평가 내용 및 방법 개선
- 음악교육에서의스팻(SPAT)기반플립러닝의활용사례연구
- 예비음악교사들을 위한 피아노 반주법 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
- 에셔의 변형패턴이 투영된 리게티의 작품 분석
- 현대 역량 교육의 관점에서 본 쉴러의 미적 교육
- 관악기 연주가 유발할 수 있는 구강 안면 질환
- 고령화 시대와 독일의 노인음악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