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표성’을통한음악에서의의미고찰
이용수 124
- 영문명
- Study on Meaning in Music through ‘Markedness’ -Focusing on Beethoven s Piano Sonata Op. 111 First movement-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이현지(HyeonJi Lee)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30호, 15~3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1.16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음악 의미와 해석에 관한 것으로 해튼의 ‘유표성’ 이론에 기초한다. 해튼의 유표성은 언어학에서 기원한 것으로 ‘유표적’이란, 대립관계의 두 가지 개념 중 특정한 의미를 띄는 하나의 개념을 일컫는다. 음악에서의 유표성 또한 이 같은 대립의 가치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음악작품에서도 특정 의미를 발견하고 좀 더 나아가 음악의 해석 즉, 담론을 이끌어낸다. 사실상 해튼의 음악분석은 철저히 해석학적 접근에 기초한 것으로 쉔커의 분석체계를 사용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음악 외적 의미에 집중하는 해튼의 이론일지라도 음악의 내적 분석과 따로 떼어 설명하기란 어렵다. 해튼은 저서에서 쉔커 이론이 성부진행 원칙을 분명하게 드러낸다는 점을 언급하였는데, 해튼 이론이 음악 표면 즉, 전경층에서 많이 부각되고 있지만 조성의 구조와 기능을 간과하기 보다는 오히려 그것들의 중요성을 논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쉔커식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전경층을 비롯한 다양한 층위에서 전략적 유표성을 제시할 것이며, 이는 비구조적 음고들의 의미도출과 조성의 구조적 기능 해석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looks into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behind music through the basis of ‘markedness’ theory by Robert Hatten. Hatten’s markedness originates from linguistic studies, and is obtained through conflict. Among two notions that exhibit a conflicting relationship, the one concept that shows a particular meaning is considered ‘marked.’ Similarly, markedness in music is produced through such opposing values, and through this, one can find the particular meaning in the a piece of music. Furthermore, it elicits a discourse which ultimately is an interpretation of the music. As a matter of fact, Hatten’s musical interpretation is exhaustively based through a hermeneutic approach and does not utilize the Schenkerian theory. However, even though Hatten’s theory focuses mostly on the extroversive analysis, it’s difficult to explain without introversive analysis. Hatten, in his works, mentions that Shenker’s Theory explicitly shows the voice leading principle. As such, Hatten’s theory stands out on the musical surface, specifically the foreground, but because it discusses the importance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tonality instead of overlooking them, this paper will suggest strategic markedness at multiple structural level including the foreground by utilizing Schenkerian sketches. This is expected to be valuable in drawing the meaning of nonstructural pitches and showing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music.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Op.111의 1악장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도르프교육기관의 음악교육특성
- ‘유표성’을통한음악에서의의미고찰
- 음악교원연수프로그램분석및개선방향탐색
- 현행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내 합창곡 분석 연구
- ‘음악하기(Musicing)’ 활동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학교파트너십을위한지역사회 음악교육단체사례분석
- 꿈의 오케스트라 평가 내용 및 방법 개선
- 음악교육에서의스팻(SPAT)기반플립러닝의활용사례연구
- 예비음악교사들을 위한 피아노 반주법 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
- 에셔의 변형패턴이 투영된 리게티의 작품 분석
- 현대 역량 교육의 관점에서 본 쉴러의 미적 교육
- 관악기 연주가 유발할 수 있는 구강 안면 질환
- 고령화 시대와 독일의 노인음악교육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