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행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내 합창곡 분석 연구
이용수 346
- 영문명
- An Analyzing Study of Partial 2 Part-Chorus in the 5th and 6th Grades’ Music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홍승연(Seungyoun Ho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30호, 55~7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1.16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현행 초등학교 5~6학년 음악 검정교과서 6종에 수록된 부분 2부 합창곡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을 통해 제재곡에 대해 합창은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지, 음악 내․ 외적 요소면에서 어느 정도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지 등을 살피고, 앞으로 집필될 교과서에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현행 6종에 실린 부분 2부 합창곡 46곡(전체3곡 포함)이고, 양적 비율, 박자, 조성, 음악적 짜임새, 2부 합창 길이, 화음구성 음정관계, 소프라노와 알토 파트 음역대, 표현, 주제별 분류 등 9가지를 비교 분석하는 준거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합창 악곡은 16.5%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학기당 1.9곡 정도 다뤄지는 정도이며, 수록된 곡 53.3%가 4박자, 24.4%가 3박자 계통의 곡이고, 조성은 a단조 1곡을 제외하고 F(31.1%), C와 G(각24.4%) 등 주로 장조 조성의 곡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음악적 짜임새는 부분적 대선율과 돌림노래 등 9곡(20%)을 제외하고는 모두 호모포니 곡이었으며, 부분 합창의 길이에서는 6~10마디가 48.9%였고, 화음의 음정관계는 대선율적 음정관계를 갖는 곡을 제외하고는 75.6%가 3~5개 이내의 음정 관계이고, 파트별 음역대는 소프라노의 경우 한 옥타브 내에서 해결이 가능한 곡이 86.7%이고, 알토 파트의 경우 한 옥타브 이상 벌어지는 음역대 곡이 44.4%에 달하고 있었다. 표현 부분은 반음계적 대선율을 제외하곤 mp, mf, f, cresc. decresc. 정도 사용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reliminary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se the partial 2 part- chorus appearing in 6 kinds of music textbooks for 5th and 6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study shows that how much portion of the partial 2 part-chorus music in the textbooks is and how much diversity of the music and in other aspects is. For the analysis, 9 criteria, quantitative portion, the meter, the key, the texture, the length of the chorus music, the relation of the tone intervals, vocal range of the parts, expression and the theme, were used.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portion was 16.5%, which means 1.5 piece of chorus music is dealt with in each semester. In terms of meter, 53.3% is 4/4 and 24.4% is 3/4. In terms of he key major keyality was used like F(31.1%), C(24.4%), and G(24.4%). In terms of musical texture, 80% of the pieces of music is homophonic texture. In the length of the 2 part-chorus 48.9% has 6~10 measures. The number of the tone intervals was various but under the 3 to 5 was 75.6%. In soprano part 86.7% of the music the vocal register was under an octave. The expressions used in the music textbooks were various, however, p, mp, mf, f, cresc. decres. appear in all textbooks. Through the study it suggests that the number of the chorus be doubled compared to the current textbooks. Various meters, keys(modes) and textures should be appeared in the new coming textbooks. Canon, songs used ostinato, echo-songs, and other simple type of chorus should be appeared before the 2 part chorus for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출판사별 합창곡 비교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도르프교육기관의 음악교육특성
- ‘유표성’을통한음악에서의의미고찰
- 음악교원연수프로그램분석및개선방향탐색
- 현행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내 합창곡 분석 연구
- ‘음악하기(Musicing)’ 활동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학교파트너십을위한지역사회 음악교육단체사례분석
- 꿈의 오케스트라 평가 내용 및 방법 개선
- 음악교육에서의스팻(SPAT)기반플립러닝의활용사례연구
- 예비음악교사들을 위한 피아노 반주법 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
- 에셔의 변형패턴이 투영된 리게티의 작품 분석
- 현대 역량 교육의 관점에서 본 쉴러의 미적 교육
- 관악기 연주가 유발할 수 있는 구강 안면 질환
- 고령화 시대와 독일의 노인음악교육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