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의학교파트너십을위한지역사회 음악교육단체사례분석
이용수 327
- 영문명
- An analysis of local music education communities for school partnership in United States: Implications for strategies to activate arts education for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정주연(JooYeon Jung) 신지혜(Jihae Shi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30호, 95~11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1.16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여러 지역의 문화예술단체들 중 음악 중심의 학교 파트너십 교육 사업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특별히 오케스트라 및 뮤지컬 분야의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주목하여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교의 문화예술교육을 보다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한국 사회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들을 제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미국의 오케스트라 5개 프로그램, 뮤지컬 4개 프로그램, 총 9개의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풍요로운 삶을 위한 다양한 교육목표가 설정되어야 하며, 둘째, 문화예술단체, 교사, 예술가 및 지역사회와의 효과적인 파트너십이 이루어져야 하며, 셋째, 예산 원천이 다양한 각도로 확보되어야 하고, 넷째, 21세기 인재양성을 위한 전문성을 갖춘 다양한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usic education programs of local communities for school partnership in United States. Especially, orchestra and musical programs were focused, and implications to activate arts education for schools in Korea were found. This study mainly used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the subjects were nine programs including five orchestra programs and four musical programs. Implication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et up various educational objectives to enrich students’ lives, second, effective partnership among arts education communities, teachers, artists, and local communities needs to be established, third, various funding resources should be considered, and fourth, curriculum with diversity and professionalism should be developed to cultivate humans for 21st centur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도르프교육기관의 음악교육특성
- ‘유표성’을통한음악에서의의미고찰
- 음악교원연수프로그램분석및개선방향탐색
- 현행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내 합창곡 분석 연구
- ‘음악하기(Musicing)’ 활동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학교파트너십을위한지역사회 음악교육단체사례분석
- 꿈의 오케스트라 평가 내용 및 방법 개선
- 음악교육에서의스팻(SPAT)기반플립러닝의활용사례연구
- 예비음악교사들을 위한 피아노 반주법 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
- 에셔의 변형패턴이 투영된 리게티의 작품 분석
- 현대 역량 교육의 관점에서 본 쉴러의 미적 교육
- 관악기 연주가 유발할 수 있는 구강 안면 질환
- 고령화 시대와 독일의 노인음악교육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