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리나라 해역의 최근 10년 간의 풍속과 유의파고 특성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marine wind speed and significant wave height of the Seas around Republic of Korea for the period of 2014-2023
발행기관
한국항해항만학회
저자명
박종숙(Jong-Sook Park) 정해찬(Hae-Chan Jung) 김혜인(Hye-In Kim) 김요한(Yo-Han Kim)
간행물 정보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24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39~241쪽, 전체 3쪽
주제분류
공학 > 해양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14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선박항행 안전성의 중요 요소이며, 최근 증가하는 연안 풍력발전단지 등에서 필요로 하는 풍속과 유의파고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해역의 최근 10년 간의 바람과 관련된 해양 기상환경 이해 향상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습니다. 해양기상 자료는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관측센서 111개소 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 분석 시기는 최근 10년(2014-2023년)입니다. 자료 분석은 우선 우리나라 전해역을 해양기상 예보 및 항행 운항 관리 해역을 기준으로 5개 해역으로 구분하여, 각 해역별 풍속과 유의파고에 대한 연평균, 계절평균, 월별 평균을 기본 자료로 분석하였습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선박 운항 출입은 해양기상예특보를 기준으로 하며, 이에 해당하는 유의파고의 예경보 수준에 해당하는 유의파고의 실제 발생횟수를 분석하였습니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해역에서 풍속이 증가하는 겨울에 유의파고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지만, 여름철에는 지역별로 다른 관계를 보여줍니다. 서해중부해상과 동해안은 여름에 풍속이 약해지면 유의파고도 낮아지는 반면, 서해남부 해역은 여름에 풍속이 약해져도 유의파고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유의파고의 경우 지역별로 누적 발생횟수가 월별, 연별 큰 차이를 보였으며, 같은 지역에서도 지점간 주의보 및 경보 발효 조건에 해당하는 유의파고 발생 횟수에서 다른 양상을 보였습니다. 연구 결과는 한국 해역에서 해상 안전을 개선하고 항해 전략을 최적화하는 데 우리나라 해역의 항행기상 환경에 대한 제고, 해역별 기상 예보 및 위험 기상 접근 방식의 차별성을 기하는데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될 것입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marine meteorological environment around the Sea of Republic of Korea over the past 10 years through analysis of wind speed and significant wave height, which are important elements of ship navigation safety and are required for coastal wind farms that are increasing recently. Marine meteorological data were utilized from 111 observation sensors operat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analysis period is the past 10 years (2014-2023).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first dividing the entire area of Korea into 5 sea areas based on the sea area of marine weather forecast and navigation operation management, and analyzing the annual average, seasonal average, and monthly average of wind speed and significant wave height for each sea area. In addition, the entry and exit of ships in Korea is based on the marine weather forecast special report, and the actual occurrence of significant wav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orecast and warning level of the corresponding significant wave height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significant wave height tends to increase in winter when wind speed increases in most sea areas, but shows different relationships by regions in summer. In the central West Sea and the East Sea, significant wave heights tended to decrease when wind speeds weakened in the summer, while in the southern West Sea, significant wave heights tended to increase even when wind speeds weakened in the summer. In the case of significant wave height, the cumulative occurrence frequency by region showed large differences month by month and year, and even in the same region, the number of significant wave height occurrences corresponding to the conditions for issuing inter-station advisories and warnings showed different patterns.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serve as important basic data for improving maritime safety and optimizing navigation strategies in Korean waters, and for enhancing the navigational meteorological environment in Korean waters, differentiating weather forecasts by sea area, and approaches to hazardous weather.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종숙(Jong-Sook Park),정해찬(Hae-Chan Jung),김혜인(Hye-In Kim),김요한(Yo-Han Kim). (2024).우리나라 해역의 최근 10년 간의 풍속과 유의파고 특성 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4 (11), 239-241

MLA

박종숙(Jong-Sook Park),정해찬(Hae-Chan Jung),김혜인(Hye-In Kim),김요한(Yo-Han Kim). "우리나라 해역의 최근 10년 간의 풍속과 유의파고 특성 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4.11(2024): 239-2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