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성폭력 피해 영상물에 대한 유포불안이 범죄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위험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04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act of Dissemination Anxiety of Technology-Facilitated Sexual Violence on Crime Prevention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isk Perception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신현주(Hyun-Joo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0권 제4호, 131~14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성폭력 피해 영상물에 대한 유포불안이 범죄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 다. 설문조사를 통해 위험인식이 유포불안과 범죄예방행동의 관계에서 가지는 매개적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강원, 충 청권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으며, SPSS process macro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포 불안이 범죄예방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위험인식이 완전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통제 변수인 성별과 거주형태는 선행연구와 일부는 일치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개인의 범죄예방행동은 성별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 였는데, TFSV의 특성상 성별에 상관없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여성에 대한 일방적인 폭력행위임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유포불안이라는 범죄두려움을 다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dissemination anxiety regarding Technology-Facilitated Sexual Violence (TFSV) on crime prevention behavior. Through a survey, the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risk percep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semination anxiety and crime prevention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primarily with university students in the Gangwon and Chungcheong region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rect effect of dissemination anxiety on crime prevention behavio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risk perception was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The control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living arrangements, showed results that were consistent with some prior studies. In particular, crime prevention behavior varied by gender, and despite the occurrence of TFSV regardless of gender, it was still evident that such violence remains a one-sided act of violence against wome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unlike previous research, it addresses the fear of crime through the concept of dissemination anxiety.
목차
1. 서 론
2. 연구의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연구결과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범죄심리연구 제20권 제4호 목차
- 친밀한 관계 폭력 피해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분석
- 경찰활동과 인권침해에 대한 시민인식 - 시나리오 설문을 중심으로
- 한국의 인신매매 대응 현황과 과제
- 청소년 도박심리중독에 대한 형사정책상 개선방안
- 형사사법제도에 대한 인식이 사적제재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 경찰관의 개인-환경적합성과 혁신행동에 관한 연구: 근무기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외국인 접촉과 범죄 피해 두려움과의 관계
-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과 자살충동의 관계 검증
-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성폭력 피해 영상물에 대한 유포불안이 범죄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위험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범죄심리와 인공지능(AI): 위험요인과 시사점
- 학교폭력 가해자의 진술수법에 관한 연구 - 중화기술을 활용한 지속적 위증사례를 중심으로
- 경호 전공 교육과정의 실무 연계성 강화 방안 - 현장 실무자 평가를 중심으로
- 사이버불링의 남녀별 주 위험요인과 도덕성의 완충작용
- 범죄자의 인격형성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무질서가 집합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범죄두려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방임이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중단에 미치는 영향: 교사관계와 학교적응의 이중매개효과
- 머신러닝을 활용한 범죄 수법에 따른 마약류 종류 분류
- 국내 강간 사건 양형에 대한 분석: 피해자다움이 작용하는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