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범죄심리와 인공지능(AI): 위험요인과 시사점
이용수 193
- 영문명
- Criminal Psych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Risk Factors and Im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성용은(Yong-Eun S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0권 제4호, 105~1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범죄심리 영역에서 인공지능(AI)은 범죄예방, 수사 및 범죄자 재활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광범위한 데이터에 기반한 정보 를 제공하고 분석해 줌으로서 범죄대응을 위한 효과적인 기술개발과 응용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이 연구에 서는 범죄심리 영역에서 인공지능(AI)의 활용에 대해서 살펴본 후, 인공지능(AI)의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서 관련 학술연구결과 및 연구보고서, 그리고 최근 언론보도자료의 분석을 통한 문헌연구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범죄심리 영역에서 인공지능(AI)의 위험요인으로는 1) 편견과 차별(인공지능 알고리즘의 편향성), 2) 투 명성과 정확성의 부족(블랙박스 효과), 3) 윤리적 우려, 4) 인공지능(AI)에 대한 과도한 의존, 5) 데이터 프라이버시 및 보안 침해, 6) 잘못된 판단에 대한 책임 및 의무 소재의 불분명, 7) 인간 심리평가의 불완전성, 8) 인공지능(AI) 시스템의 조작 및 오용, 9) 형사사법에서 인간적 요소의 상실을 확인했다. 이에 대한 시사점으로 범죄행동을 프로파일링하거나 예측하는데 사용되 는 인공지능(AI) 기반 예측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결함이 있거나 지나치게 결정적일 수 있음을 지적했다. 또한 인공지능(AI) 알 고리즘의 편향성, 개인 정보 보호 권리, 예측적 경찰활동에의 오용 가능성 등의 윤리적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인공지능(AI) 시스템 운용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보장해야 한다. 인공지능(AI) 시스템 운용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서 편견의 배제, 윤리성 제고, 그리고 투명성 확보를 위해서 엄격한 감독, 지속적인 평가, 전문가의 참여가 요구된다. 형사정책 책임자, 범죄심리학/경찰학자, 과학기술자는 범죄심리 영역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의 이용을 위해서 인간의 판단, 책임, 그리고 윤리적 기준을 균형있게 조절 하기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필요가 있다. 끝으로 이 연구의 학술적·정책적 의의와 함께 연구의 한계에 대해서 논 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field of criminal psych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the potential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ffective technolog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crime response by provid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based on extensive data for improving crime prevention, investigation, and offender rehabilitation programs. This study examined the use of AI in the field of criminal psychology, analyzed the risk factors of AI, and discussed its implic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literature review method that analyzed related academic research results, and research reports, and recent press article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risk factors of AI in the field of criminal psychology include: 1)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bias of AI algorithms), 2) lack of transparency and accuracy (black box effect), 3) ethical concerns, 4) excessive reliance on AI, 5) data privacy and security violations, 6) unclear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for incorrect judgments, 7) imperfection of human psychological assessment, 8) manipulation and misuse of AI systems, and 9) loss of human elements in criminal justice. As an implication of this, it was pointed out that AI-based predictive systems used to profile or predict criminal behavior may be inherently flawed or overly deterministic. In addition, ethical issues arise, such as the bias of AI algorithms, privacy rights, and the possibility of misuse in predictive policing. Therefore, the fairness and transparency of the operation of AI systems must be guaranteed. In order to secure the fairness of the operation of AI systems, strict supervision, continuous evaluation, and participation of experts are required to eliminate bias, enhance ethics, and secure transparency. Criminal justice policymakers, criminal psychologists/police science scholars, and scientists need to build a systematic system to balance human judgment, responsibility, and ethical standards for the use of AI technology in the field of criminal psychology. Finally, the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its limitation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논의
3. 범죄심리 영역의 인공지능(AI) 위험요인과 시사점
4.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범죄심리연구 제20권 제4호 목차
- 친밀한 관계 폭력 피해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분석
- 경찰활동과 인권침해에 대한 시민인식 - 시나리오 설문을 중심으로
- 한국의 인신매매 대응 현황과 과제
- 청소년 도박심리중독에 대한 형사정책상 개선방안
- 형사사법제도에 대한 인식이 사적제재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 경찰관의 개인-환경적합성과 혁신행동에 관한 연구: 근무기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외국인 접촉과 범죄 피해 두려움과의 관계
-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과 자살충동의 관계 검증
-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성폭력 피해 영상물에 대한 유포불안이 범죄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위험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범죄심리와 인공지능(AI): 위험요인과 시사점
- 학교폭력 가해자의 진술수법에 관한 연구 - 중화기술을 활용한 지속적 위증사례를 중심으로
- 경호 전공 교육과정의 실무 연계성 강화 방안 - 현장 실무자 평가를 중심으로
- 사이버불링의 남녀별 주 위험요인과 도덕성의 완충작용
- 범죄자의 인격형성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무질서가 집합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범죄두려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방임이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중단에 미치는 영향: 교사관계와 학교적응의 이중매개효과
- 머신러닝을 활용한 범죄 수법에 따른 마약류 종류 분류
- 국내 강간 사건 양형에 대한 분석: 피해자다움이 작용하는가
참고문헌
- 강원법학
- 한국경찰연구
- 법학연구
-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경찰학연구
- 한국부패학회보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한국정보기술학회 학술 대회 자료집
- 한국범죄심리연구
- 법학연구
- 한국경찰학회보
- 경영정 보학연구
- 경찰학연구
- 형사정책
- 동아 법학
- 4차산 업혁명 법과 정책
- 경찰법연구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한국범죄정보연구
- 대한범죄학회
- 한국융합과학회지
- 한국정보기술학회 학술 대회 자료집
- 수사연구
- 치안정책연구
- 법학 연구
- 인터넷정보 학회논문지
- 법학논총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한국민간경비학회보
- 형사정책
- Criminal Justice & Behavior
- CA: Oxford University Press
- Journal of human-robot interaction
- RUSI briefing paper
- California Law Review
-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CA : Routledge
- In 2021 30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 & Human Interactive Communication (RO-MAN)
- In D. K. Freedheim (Ed.), History
- Front Psychology
- I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oT Based Control Networks & Intelligent Systems-ICICNIS
- MIT Technology Review
- Proceedings of the 2018 ACM CHI Conf Hum Factors Computing System
- Proceedings of the 2018 AAAI/ACM Conf on AI, Ethics, and Soc (AIES’18)
- Annual Review of Criminal Psychology
-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 PLoS ONE
- Proc 1st Conf Fairness, Account Transpar(PMLR)
- Emotion
- In Proceedings of the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and social media (ICWSM 2017)
- Psychol Sci Public Interest
- University of Essex, Human Rights
- In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Networking and Collaborative Systems
-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gital Transformation and Global Society
- Proceedings of the ACM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and Social Computuer
- Public Management Review
- Ann Am Assoc Geogr
- UCLA L. Rev. Discourse
- Journal of Computational Socail Sceince
- Proceedings of the 2017 ACM Int Conf on Interact Exp for TV and Online Video
-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e Science & Management
- Significance
- In: Lamas D, Loizides F, Nacke L, Petrie H, Winckler M, Zaphiris P (eds) Human-Computer Interaction INTERACT 2019: INTERACT 2019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 RAND
- AI & SOCIETY
- Journal of Forensic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 N.Y.U. Law Revivew
- Psychology Bulletine
- Annals of Operations Research
- Proc Natl Acad Sci USA
- 5th Workshop on Fairness,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in machine Learning
- Journal of Applied Security Research
- Proceedings of the 2018 CHI Conf on Hum Factors in Comput Syst
- 人工知能
- 日本セキュリティ・マネジメント学会誌
- 情報知識学会 誌
- 2024年度人工知能学会全国大会 第38回 資料集
- 人権問뷰研究所紀要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