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 도박심리중독에 대한 형사정책상 개선방안
이용수 118
- 영문명
- A Study on Theimprove Criminal Policy on Youth gambling psychological addiction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김봉수(Bong So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0권 제4호, 35~5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박은 인간의 본성을 파괴하기 때문에 치유와 회복의 어려운 범죄중에 하나이다. 즉 ‘마른 주정(dry drunk)증상으로 술을 끊고 오랜시간을 버텼지만 마치 술을 마실때와 같은 성격적 결함, 성인아이(Adult Children of Addict, ACOA)로 중독자 자녀가 성장하여 성인이 되어서도 경험으로부터 회복되지 못한 채 부적절하고 미성숙한 행동을 하는 사람으로 부르는 대표적인 범죄이 다. 성인기에 나타나는 중독자의 성인아이 문제는 중독자 자녀의 아동기 경험이 갖는 심각함을 야기시킨다.
경찰청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23년 형사입건된 도박혐의 소년범(14세 이상 19세 미만)은 171명으로, ’22년(74명) 대비 2.3배 증가한 수치이며, 그중 대부분은 남자 청소년(92.4%)이었다. 고등학생의 수(64명)가 중학생(32명)보다 많았지만, 평균연 령은 16.1세로 최근 5년간 꾸준히 낮아지는 추세를 보여, 도박범죄가 더욱 어린 연령층으로 퍼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청 소년들에게 그동안 우리 사회의 놀이에 대한 잘못된 인식, 충동, 학업・가족불화 등 스트레스, 또래 관계의 영향, 가족관계의 어 려움, 비합리적 도박신념 등이 청소년들에게 도박이라는 새로운 범죄를 접하게 만들었고, 가족들과 학교의 무관심 속에서 청소 년 범죄는 꾸준히 증가할 수 밖에 없는 원인이 되었다.
청소년의 도박문제는 성인의 도박중독과 그 개념이 다르다. 정신질환 분류체계인 DSM-V(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의 진단기준에 의하면, 성인의 도박문제 행동은 중독 장애로 진 단 할 수 있겠지만, 청소년의 경우에는 병리적인 도박 중독 장애로 표현하기 보다는 ‘도박문제’라는 용어를 학계에서 더 선호한 다. 현재 우리 사회의 구성원의 대부분은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2020년 초부터 COVID-19 이후 청소년들의 스마트 폰 중독 문제와 청소년들의 온라인도박 관련 문제도 빠르게 증가해 왔다. 이하 청소년 도박심리중독에 대한 형사정책상 개선방 안에 대한 제언을 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Gambling is one of the difficult crimes of healing and recovery because it destroys human nature. In other words, it is a typical crime called a person who stops drinking due to dry drinking symptoms and lasts a long time, but has a personality defect like drinking alcohol, and an adult child (ACOA) who has grown up and behaves inappropriately and immaturely without recovering from experience even in adulthood. The adult child problem of an addict in adulthood causes the seriousness of the child experience of the addic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171 juvenile offenders suspected of gambling (ages 14 to 19) were criminally charged in 2023, a 2.3 times increase from '22 (74), and most of them were male adolescents (92.4%). Although the number of high school students (64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 (32), the average age was 16.1 years, which has been steadily decreasing over the past five years, confirming that gambling crimes are spreading to younger age groups. In particular, adolescents have been exposed to new crimes called gambling, such as false perceptions of play in our society, impulses, academic and family discord, the impact of peer relationships, difficulties in family relationships,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s.
Adolescents' gambling problem is different from adult gambling addiction. According to the diagnostic criteria of DSM-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 a mental disease classification system, adult gambling problem behavior can be diagnosed as an addiction disorder, but in the case of adolescents, the term 'gambling problem' is preferred by academia rather than by expressing it as a pathological gambling addiction disorder. Currently, most members of our society use smartphones, and since the beginning of 2020, the problems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and online gambling among adolescents have increased rapidly. Hereinafter, I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criminal policy calculation for youth gambling psychological addiction.
목차
1. 서 론
2. 도박범죄의 의의와 실태
3. 외국의 청소년 도박범죄 실태 및 관련 법제
4. 청소년 도박심리중독에 대한 형사정책상 개선방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범죄심리연구 제20권 제4호 목차
- 친밀한 관계 폭력 피해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분석
- 경찰활동과 인권침해에 대한 시민인식 - 시나리오 설문을 중심으로
- 한국의 인신매매 대응 현황과 과제
- 청소년 도박심리중독에 대한 형사정책상 개선방안
- 형사사법제도에 대한 인식이 사적제재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 경찰관의 개인-환경적합성과 혁신행동에 관한 연구: 근무기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외국인 접촉과 범죄 피해 두려움과의 관계
-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과 자살충동의 관계 검증
-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성폭력 피해 영상물에 대한 유포불안이 범죄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위험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범죄심리와 인공지능(AI): 위험요인과 시사점
- 학교폭력 가해자의 진술수법에 관한 연구 - 중화기술을 활용한 지속적 위증사례를 중심으로
- 경호 전공 교육과정의 실무 연계성 강화 방안 - 현장 실무자 평가를 중심으로
- 사이버불링의 남녀별 주 위험요인과 도덕성의 완충작용
- 범죄자의 인격형성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무질서가 집합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범죄두려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방임이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중단에 미치는 영향: 교사관계와 학교적응의 이중매개효과
- 머신러닝을 활용한 범죄 수법에 따른 마약류 종류 분류
- 국내 강간 사건 양형에 대한 분석: 피해자다움이 작용하는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