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사회에서 대학의 역할 정립을 위한 사례 탐색 연구 - 연구, 교육, 봉사 영역을 중심으로 -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multicultural education cases by role of university - focusing on domain of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정(Lee, Soo-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4권 제4호, 113~13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사회에로 빠른 진입에 대응하여 최근 2~3년 사이에 대학에서 다문화교육
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음에 주목하고 대학에서의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실천을 연구, 교육,
봉사의 3영역으로 나누어 현재의 현황과 관련된 사례를 살펴보았다. 첫째, 다문화교육 관련 연구
영역에서는 1995년 이후 현재까지 이루어진 다문화교육의 주요 주제와 분야별 논문 현황을 고찰
하였는데 그 결과 2006년부터 연구물이 증가하고 있으며 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 실태나 내용, 방
법 및 교사의 인식 등에 맞추어져 있다. 둘째,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교육 영역에서 21개 대학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개설된 다문화교육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각 대학마다 개설 현황,
강좌별 주제, 운영 방식, 교수학습 방법 등이 매우 다양하게 구성,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봉사 영역에서는 K대학에서 수행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업과
학교생활의 원활한 수행을 지원하고 대학생들에 대한 이해 및 봉사 의식을 제고하기 위한 멘토링
활동과 수학, 영어, 다문화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기 위한 다문화 글로벌 브
릿지 프로젝트 사례를 살펴보았는데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에서의
어려움을 돕고 있어 프로그램에 대한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
고 대학생들의 경우도 다문화가정과 다문화 사회에 대해 자신을 반성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다문화
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지는 등 그 효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t was noticed that the concer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in
university has been increased very much within recent 2~3 years corresponding the
quick entering into multicultural society. So, several cases related to the current state
was reviewed by 3 domains of research, education, service to explore the practice plan
related t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university.
First, I reviewed the research domai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analyze abundant research resource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rea, I found the study
of multicultural has been increased rapidaly from 2006 in Korea. Also many studi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focused mostly on the realities, contents, methods, and
perceptions of teacher.
Second, I reviewed the education domai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analyze the curriculum of multicultural education, run by 21 universities, under the
categories of name, topic, teaching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of lectures as well
as enrolling grade, each school has its unique style in providing, and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point out implications or any benefits of the program.
Third, I reviewed the service domai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explore the K unversity's case, the multicultural mentoring program and global bridge
program. Through using interview, many mentorees expressed positive out comes for
mentoring and global bridge program. Based on these results, And a multicultural
mentoring and global bridge program can not only provide an opportunity to encounter
with cultural differences for futher students but also equip them with a self-reflection
both on ther own attitude toward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on the role
of leader in a multicultural socie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 발명영재 요인 및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체계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초등 실과 교원능력개발을 위한 평가지표의 중요도 조사 연구
-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창의교실 프로그램 개발
-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초등학교 조리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개정 교육과정 초 · 중등 실과(기술 · 가정)/가정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및 연계성 비교 분석
- 실과의 비교 우위 가치와 발전 방안
- OM(Odyssey of the Mind)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 분석
- 실과 교과서 ‘간단한 전자 회로 꾸미기’ 단원의 활동과제 분석
-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교육의 관점에서 본 ‘가족’에 대한 초등교과교육의 실태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JIGSAWⅢ 모형을 적용한 목제품 만들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발명영재 교육의 현황, 당면 과제 및 개선 방안
- 다문화 사회에서 대학의 역할 정립을 위한 사례 탐색 연구 - 연구, 교육, 봉사 영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