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과 교과서 ‘간단한 전자 회로 꾸미기’ 단원의 활동과제 분석
이용수 30
- 영문명
- Analysis on the Practical Activities of Assembling Electronic Circuits Unit in the Practical Arts Textbook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대영(Moon Dae Young) 이시원(Lee Si 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4권 제4호, 77~9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간단한 전자 회로 꾸미기’ 단원 활동과제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향후 활동과제 개발방향과 현장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내용 분석법으로 수행되었으며, 분석 대상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실과 6학년 교과서 7종의 ‘간단한 전자 회로 꾸미기’ 단원이다. 분석에는 A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학생 28명이 참여하였다. 교과서 내용 분석의 분석 항목은 ‘간단한 전자 회로 꾸미기’ 단원 전체의 구성, 활동 과제의 수준 적합성, 실습 활동 안내의 충실성, 교육적 효과성의 네 개로 구성되며, 각 항목별 장단점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 전체 구성은 도입, 전개, 정리, 평가의 단계가 전반적으로 구성되었으나, 내용 설명이 지나치게 간략한 점, 능동적·창의적 실습활동 전개가 부족한 점, 실용적인 실습 소재의 구성이 부족한 점 등이 지적되었다. 둘째, 활동과제의 수준 적합성에 대한 의견은 실체도를 보고 그대로 따라서 조립하는 활동으로 만족한다면 적합한 수준이지만, 전자 회로도에 대한 이해 과정이 생략되어 이해하기가 어려운 높은 수준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또한 커넥터 블록을 이용한 전자 회로 꾸미기 활동 과제가 초등학교 6학년 수준에 적합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셋째, 실습 활동 안내 충실성은 전반적으로 실습을 진행하는 데에는 큰 문제점이 없다고 보았으나, 전자 회로 원리에 대한 설명이 부족 한 점, 전자 부품을 연결하는 상세한 안내가 부족한 점, 각 실습 단계별로 구체적인 설명이 부족한 점, 실습 순서를 소개하는 사진이 너무 간략하게 제시된 점 등이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넷째, 교육적 효과성은 전기·전자 제품에 대한 경험을 통해 관심을 갖게 되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의견이 있었다. 그러나 전자 회로의 원리에 대한 이해 부족, 정해진 순서와 방법에 따른 단순 조립 활동으로 사고력 신장에 제한적이라는 점 등이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s for developing practical activities through analyzing on the ‘assembling electronic circuits unit in the practical arts textbook. To perform this study, context analysis method was used on the ‘assembling electronic circuits unit in 7 textbooks of practical art subject of 6th grade. The points of analysis were structure of unit, difficulty of activity, fidelity of activity guidance,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e of ‘assembling electronic circuits unit in 7 textbooks was well-structured with introduction, development, arrangement, and evaluation step. But there were some problems as lack of explanation, creative activity and practical subject matter. Second, the difficulty of activities of ‘assembling electronic circuits unit in 7 textbooks was suitable in the point of view assembling electronic circuits as itself. But it was too difficult in the point of view understanding electronic circuits. Third, the fidelity of activity guidance of ‘assembling electronic circuits unit in 7 textbooks was proper level to student. But there were some problems as lack of explanation in principle of electronic circuits and lack of explanation in procedure & method of practical exercise. Fourth,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assembling electronic circuits unit in 7 textbooks were positive in the point of view as interested in electronic stuff and sense of accomplishment. But there were negative opinions as lack of understanding about electronic circuits and limit of developing thinking skill.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 발명영재 요인 및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체계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초등 실과 교원능력개발을 위한 평가지표의 중요도 조사 연구
-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창의교실 프로그램 개발
-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초등학교 조리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개정 교육과정 초 · 중등 실과(기술 · 가정)/가정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및 연계성 비교 분석
- 실과의 비교 우위 가치와 발전 방안
- OM(Odyssey of the Mind)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 분석
- 실과 교과서 ‘간단한 전자 회로 꾸미기’ 단원의 활동과제 분석
-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교육의 관점에서 본 ‘가족’에 대한 초등교과교육의 실태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JIGSAWⅢ 모형을 적용한 목제품 만들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발명영재 교육의 현황, 당면 과제 및 개선 방안
- 다문화 사회에서 대학의 역할 정립을 위한 사례 탐색 연구 - 연구, 교육, 봉사 영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