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창의교실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58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Creative Activity Class for Family Cultur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미경(Chung Mee Kyung) 김유정(Kim Yu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4권 제4호, 187~20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생활문화 그리고 과학적 요소가 통합된 창의적 생활문화체험교육을 위한 ‘생활창의교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5, 6학년 각 교과의 교과서에 수록된 의생활, 식생활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 결과에 근거하여 생활창의교실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각 교과의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의생활 관련 내용은 5학년의 경우 도덕, 사회, 미술, 체육, 실과에서, 6학년의 경우 도덕, 미술, 체육, 실과에서 주로 다루고 있었다. 식생활 관련 내용은 국어, 사회, 과학, 미술, 음악, 체육, 실과에서 주로 다루고 있었다. 둘째, 식생활 관련 내용은 5학년의 경우 국어, 사회, 과학, 미술, 음악, 체육, 실과에서, 6학년의 경우 도덕, 국어, 사회, 과학, 미술, 음악, 실과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창의교실’ 프로그램은 아동으로 하여금 창의적이고 과학적이며 의생활 및 식생활문화를 계승 발전해 나갈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고자 의류학과 식품영양학을 구성하는 하위 영역을 기본으로 하여 아동의 일상생활이나 상상의 세계에서 꿈꿀 수 있는 통합적 내용으로 각각 4개의 주제로 구성하였다. 각 영역은 내용에 따라 창의, 과학, 문화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각 영역별로 5개의 하위 주제로 구성되어 총 20개의 활동으로 되어 있으나, 학교의 여건에 따라 영역별로 하위주제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reative Activity Class for Family Culture program which is intended for teaching/learning of creative hands-on activities useful for daily life and integrates creativity, family culture and scientific elements requir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clothing and dietary life related contents included in the textbook of each subject for fifth and six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e results, a Creative Activity Class for Family Culture program was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ses of the textbook of each subject for fif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s show that clothing related contents are addressed primarily by Moral Education, Social Studies, Fine Arts, Physical Education, and Practical Arts, while dietary life related contents are addressed mainly by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Science, Fine Arts, Music, Physical Education, and Practical Arts. Second, analyses of the textbook of each subject for six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s show that primarily Moral Education, Fine Arts, Physical Education, and Practical Arts subjects address clothing related contents, while Moral Education,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Science, Fine Arts, Music, and Practical Arts address dietary life related contents. Finally, the said ‘Creative Activity Class for Family Culture program was composed comprehensively of four themes as categorized based on the subdomains of clothing science and food & nutrition science, which is intended to guide children to more creative and scientific clothing and dietary practices in their daily lives. The objectives of the respective domains were understanding of creativity, science and culture according to their contents, and each domain consists of five subthemes and contains a total of twenty activities, provided that the subthemes can be selected for each domain at the discretion of individual schools depending upon their circumstances.
목차
I. 서론
II. 초등학생을 위한 창의적 생활문화교육의 필요성 및 실태
III. 창의적 생활문화 관련 교육 내용 분석
IV.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창의교실 프로그램 개발
V.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 발명영재 요인 및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체계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초등 실과 교원능력개발을 위한 평가지표의 중요도 조사 연구
-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창의교실 프로그램 개발
-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초등학교 조리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개정 교육과정 초 · 중등 실과(기술 · 가정)/가정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및 연계성 비교 분석
- 실과의 비교 우위 가치와 발전 방안
- OM(Odyssey of the Mind)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 분석
- 실과 교과서 ‘간단한 전자 회로 꾸미기’ 단원의 활동과제 분석
-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교육의 관점에서 본 ‘가족’에 대한 초등교과교육의 실태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JIGSAWⅢ 모형을 적용한 목제품 만들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발명영재 교육의 현황, 당면 과제 및 개선 방안
- 다문화 사회에서 대학의 역할 정립을 위한 사례 탐색 연구 - 연구, 교육, 봉사 영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