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용수 139
- 영문명
- A Funda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미경(Chung Mee 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4권 제4호, 225~24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의생활 영역의 기본 방향 및 내용에 관련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다문화교육의 개념 및 다문화교육내용 분석기준을 설정하여 초등교육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교육을 위한 의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서의 다문화교육의 개념은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기본철학을 바탕으로 전 지구적 관점으로 그 의미를 넓혀야 하며, 내용의 분석기준은 두 개의 큰 범주로 나누어, ‘다문화적 시민성’범주에는 ‘정체성, 다양성, 평등/정의, 시민성’이라는 4개의 기준과 ‘전지구적 과제’의 범주에는 ‘상호의존, 평화,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세 개의 기준이 가장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은 전 학년의 각 교과에서 다각도로 접근되고 있으며, 교과별로 보면 도덕과 사회교과가 ‘다문화적 시민성’과 ‘전 지구적 과제’ 범주의 내용요소 전반을 다루는 것에 비해 미술, 체육, 실과는 ‘다문화적 시민성’ 범주 중 정체성과 다양성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므로 이를 기를 수 있는 효과적인 영역으로서의 역할을 인식함과 동시에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초등학교에서의 의생활문화교육이 교과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 교과의 목표를 먼저 인식하고 그 안에서 의생활문화교육이 접근되어야 하며, 교과간의 역할을 고려하여 내용의 접근에서 차별화가 분명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의생활문화 프로그램에서의 나라의 선정은 10개 의생활 문화권을 고려하고, 해당 문화권의 의생활에 대한 지리적 요인, 사회적 발전단계,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의 세부적 사항을 바탕으로 심도 있게 접근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especially in the clothing & textiles culture unit. To achieve this purpose,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ext books were analyzed by setting up the reference points and the no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no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more broadly applied, to the global perspective, based on the basic philosophy of getting along. The reference points should be in two large categories,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category, which includes identity, diversity, equality, and citizenship, and the global task category, which includes interdependence, peace, and perpetual progress.
2)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ulti-cultural education is approached from many different angles. While in Ethics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global task categories are covered thoroughly, while in the Art, Physical Education, and Clothing & Textiles, the curriculum only focuses on the identity
and the diversity of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category.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the elementary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the clothing & textiles to recognize and fulfill its purposes.
3) In case of the clothing & textiles culture education being performed in each subject, the object of the subject should be recognized before approaching the clothing & textiles culture education, and the approaches should be distinctive between subject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roles of each subject.
4) Ten different nation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in the clothing & textiles educational program according to dimensions such as their geography, level of social development, society, economy, and politics.
목차
I. 서론
II. 다문화 교육의 의미와 내용
III. 초등 다문화교육과 의생활 문화
IV. 초등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의생활 문화 교육
V.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 발명영재 요인 및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체계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초등 실과 교원능력개발을 위한 평가지표의 중요도 조사 연구
-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창의교실 프로그램 개발
-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초등학교 조리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개정 교육과정 초 · 중등 실과(기술 · 가정)/가정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및 연계성 비교 분석
- 실과의 비교 우위 가치와 발전 방안
- OM(Odyssey of the Mind)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 분석
- 실과 교과서 ‘간단한 전자 회로 꾸미기’ 단원의 활동과제 분석
-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교육의 관점에서 본 ‘가족’에 대한 초등교과교육의 실태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JIGSAWⅢ 모형을 적용한 목제품 만들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발명영재 교육의 현황, 당면 과제 및 개선 방안
- 다문화 사회에서 대학의 역할 정립을 위한 사례 탐색 연구 - 연구, 교육, 봉사 영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