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교육의 관점에서 본 ‘가족’에 대한 초등교과교육의 실태 및 방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1
- 영문명
- Focusing on present condition and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on ‘family’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low birth and aging society prepara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병국(Kim Byeong Kook) 전세경(Jeon Se 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4권 제4호, 271~29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교육의 관점에서 초등학교에서 ‘가족’의 주제를 다루고 있는 교과에서의 학습내용요소들 간의 특징과 관계를 교과별, 학년별로 모색하고 교과서의 삽화에 등장하는 가족의 유형을 분석하여, 그 현상을 파악하고자 한 연구이다. 아울러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학교교육의 목표에 내용체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중심으로 이를 초등학교 교육의 수준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초등학교에서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교육으로서 ‘가족’에 대한 교육을 어떻게 전개할 수 있는가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교과는 통합교과, 국어, 도덕, 사회, 실과의 5개 교과였으며, 이들 교과의 교육과 정해설에서 나타난 ‘가족’에 대한 학습내용요소를 분석하였다. 교과서는 일부 개정 전 교과서를 포함하여 삽화로 등장하는 가족유형의 모습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족’에 대한 학습내용요소는 크게 가족에 대한 기본 이해, 가족관계, 가족의 삶에 대한 조건 등으로 대별되었으며, 여기에는 교과간, 학년간 편차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에 등장한 가족의 유형과 모습을 양적, 질적으로 파악해 볼 때, 저출산과 고령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대비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초등학교 교육의 수준과 범주를 고려한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학교교육의 목표에 내용체계를 제시함으로써, 실제적으로 각 교과, 각 학년에서 다루어지는 내용과 통합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근거와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 연구가 교사나 관련자들에게 ‘가족’에 대한 초등 교육의 기본적 목표 달성은 물론, 저출산·고령사회 대비교육으로서의 교육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하는데 중요한 교육적 관점과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grasp the current state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n family’ from the perspective of low birth and aging society prepar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and the relationship of educational elements, categorized by subject, grades, and by examining the illustration of family types in textbooks. With existing researches studying how to prepare for low birth and aging society through education, this research reorganizes the content introduced on previous studies into elementary school education level curriculums in a bid to find an appropriate direction for the future education on the topic of family’. There were five subjects chosen as subjects for this research, which is general subject, Korean, ethics, society, and practical course. The educational elements on
‘family’ included in the curriculum guide for each subject were analyzed. Illustrations depicting family types in each textbook, including some pre-revision textbooks, we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From the research, educational elements on ‘family’ were generally classified into basic understanding on family, family relationship, and qualifications for family life. There existed a deviation depending on the subject and the grade. In comprehending the types and forms of family depicted in textbook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t seemed that existing textbooks were insufficient to solve the issue of low birth and aging society and also the way to prepare for such issue.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 is prepared of evidence and a system that proposes a possible content, and is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educational level and category at elementary schools, which can be linked to curriculums currently being taught to each grade. I expect this research can help not only teachers but also and related personnel to fulfill the essential goal of elementary education on ‘family’. This research also can be used as an important educational tool in suggesting the direction on teaching how to prepare for low birth and aging societ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 발명영재 요인 및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체계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초등 실과 교원능력개발을 위한 평가지표의 중요도 조사 연구
-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창의교실 프로그램 개발
-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초등학교 조리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개정 교육과정 초 · 중등 실과(기술 · 가정)/가정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및 연계성 비교 분석
- 실과의 비교 우위 가치와 발전 방안
- OM(Odyssey of the Mind)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 분석
- 실과 교과서 ‘간단한 전자 회로 꾸미기’ 단원의 활동과제 분석
-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교육의 관점에서 본 ‘가족’에 대한 초등교과교육의 실태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JIGSAWⅢ 모형을 적용한 목제품 만들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발명영재 교육의 현황, 당면 과제 및 개선 방안
- 다문화 사회에서 대학의 역할 정립을 위한 사례 탐색 연구 - 연구, 교육, 봉사 영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