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이용수 468
- 영문명
- Development of Practical Arts-Centered Model for STEAM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철현(Lee Chul Hyun) 한선관(Han Seon Kwan)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4권 제4호, 139~16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들어 나타나는 학문간 융합의 영향으로 교육 분야에서 STEAM 융합인재교육이 시도되고 있다.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예술(Arts), 수학(Mathematics)의 학문 영역이 유기적으로 융합되는 STEAM 교육의 목적은 학생들이 21C 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 태도, 인성을 기르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STEAM의 한 축인 기술 영역의 초등학교 교과에 해당하는 실과 교과를 중심으로 하는 STEAM 융합인재교육 방안을 모색하였고, 그 결과, 두 가지의 실과 교과 중심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하나는 실과 교육과정 내용 요소에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영역별로 관련 있는 STEAM 융합인재교육 활동을 재구성하여 통합하는 ‘실과 STEAM 교육활동 재구성 통합 모형’이고, 또 다른 하나는 기존 실과 단원의 차시를 조정하여 확보한 여분 차시를 이용하여 STEAM 교수∙학습 활동 차시를 추가로 생성하여 운영하는 ‘실과 STEAM 차시 생성 모형’이다. 이 두 가지 모형의 현장 적합성에 대하여 STEAM 교육 교사 연수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두 가지 모형 모두 현장에 적합하다는 반응을 보였고, 두 모형 중 ‘실과 STEAM 차시 생성 모형’의 현장 적합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추후 이 두 가지 모형을 실과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실과 STEAM 교육 활동의 다양한 사례를 발굴하고, 이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과는 별도로 실과 주제 중심의 STEAM 교육 모형이 개발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STEAM education has been popularly tried in education field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nvergence among several academic areas. The objectives of STEAM which integrates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is to make students foster the abilities, attitudes, and human natures required in the 21st century. In this study, we approached to the applicable plans for STEAM education in Practical Arts in the elementary school which corresponds to the technology area of STEAM. Then we suggested two Practical Arts-centered models for STEAM education. One is called the Activity-Reconstruction and Integration Model of STEAM education , which reconstructs and integrates activities for STEAM education related to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into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other is called the Time-Creation Model of STEAM education which can generate additional class time from the modificat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in Practical Arts.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join STEAM in-service training shows that both models are appropriate in the school field and that the Time-Creation Model is preferred to the other model. Later, various cases of STEAM education activities should be investigated by applying these two models into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a Subject-centered Model for STEAM education should also be developed in addition to these two model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탐색
III. 실과 교과 중심 STEAM 교육 방안
IV.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 발명영재 요인 및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체계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초등 실과 교원능력개발을 위한 평가지표의 중요도 조사 연구
-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창의교실 프로그램 개발
-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초등학교 조리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개정 교육과정 초 · 중등 실과(기술 · 가정)/가정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및 연계성 비교 분석
- 실과의 비교 우위 가치와 발전 방안
- OM(Odyssey of the Mind)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 분석
- 실과 교과서 ‘간단한 전자 회로 꾸미기’ 단원의 활동과제 분석
-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교육의 관점에서 본 ‘가족’에 대한 초등교과교육의 실태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JIGSAWⅢ 모형을 적용한 목제품 만들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발명영재 교육의 현황, 당면 과제 및 개선 방안
- 다문화 사회에서 대학의 역할 정립을 위한 사례 탐색 연구 - 연구, 교육, 봉사 영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