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JIGSAWⅢ 모형을 적용한 목제품 만들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78
- 영문명
- Effect of Woodwork Class that Applies JIGSAWⅢ Model on Improvement of Children’s Sociality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성환(Mun Seong Hwan) 이훈욱(Lee Hun Wuk)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4권 제4호, 45~6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07년 개정교육과정의 초등학교 5학년 실과 ‘5. 생활 속의 목제품’ 단원의 목제품만들기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JIGSAWⅢ 모형을 적용한 목공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목제품 만들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JIGSAWⅢ 모형을 적용한 목공교육 프로그램은 학생의 흥미와 창의성을 유도하고, 모둠별로 목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모둠원 간의 협동을 중요시하는 활동을 통해 사회성을 키우는데 중점을 두어 개발하였다. JIGSAWⅢ 모형을 적용한 목제품 만들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 양천구에 위치한 Y초등학교 5학년 1개 반 31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목제품 만들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회성 검사 도구로는 문애경(2008)의 ‘SSRS-학생용’ 사회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으로는 SPSS WIN(version. 12.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 개정교육과정의 5학년 실과 ‘목제품 만들기’ 수업에서 단계별 학습(목재 및 목공구의 이해, 목제품 구상 및 작업 방법 이해, 아이디어 생성하기, 전문가집단 활동하기, 목제품 만들기, 목제품 평가 및 반성하기)을 적용하여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총 10차시 분량의 목공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JIGSAWⅢ 모형을 적용한 목제품 만들기 수업은 초등학생의 사회성을 신장시키는데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사회성의 하위 4개 요인(협동, 자기 주장, 공감, 자기 조절)에서 통계적으로 p<0.05 수준의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JIGSAWⅢ 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 효과를 미침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초등 실과 목공 수업에서 JIGSAWⅢ 모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performed to develop woodwork education program applied JIGSAWⅢ model that is applicable to class to make wooden goods of the Unit ‘5. Wooden works in Our Life’ in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of revised curriculum in 2007,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woodworks class by applying this on improvement of children’s sociability. The woodworks education program applied DIY and cooperative learning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focusing to develop sociality through activities that put emphasis on cooperation between group members in the process to make wooden goods per group, and induce interests and creativity of stud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oodworks class applied DIY and cooperative learning model, woodwork class was conducted by selecting 31 students of one class in fifth grade in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Yangcheon-gu, Seoul as an experimental group. As a tool to inspect sociality, it was used the sociality inspection tool for ‘SSRS-for Students’ of Mun, Ae Kyoung, and as for statistic program. It was used SPSS WIN(version. 12.0)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developed woodworks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help to improve sociality of total 10 time period (Understanding wood and DIY woodworking tools, understanding design of wooden goods and working process, creating ideas, activating experts group, making wooden goods, evaluation and review) that is applicable to class of ‘Making Wooden Goods’ of Practical course in fifth grade of revised curriculum in 2007. Second, woodworks class applied JIGSAWⅢ model model had a positive effect to improve children’s sociality. It showed significant changes at the level of p<0.05 statistically at the four sub factors of sociality (cooperation, self-assertiveness, empathy, and self-control) From above results, it was known that the class that applied JIGSAWⅢ model has positive effectson improvement of children’s sociality, and it was confirmed that its application possibility of JIGSAWⅢ model in the woodworks class of elementary Practical Course through this study.
목차
I. 서론
II. 연구의 방법 및 절차
III. 연구 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 발명영재 요인 및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체계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초등 실과 교원능력개발을 위한 평가지표의 중요도 조사 연구
-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창의교실 프로그램 개발
-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초등학교 조리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개정 교육과정 초 · 중등 실과(기술 · 가정)/가정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및 연계성 비교 분석
- 실과의 비교 우위 가치와 발전 방안
- OM(Odyssey of the Mind)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 분석
- 실과 교과서 ‘간단한 전자 회로 꾸미기’ 단원의 활동과제 분석
-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교육의 관점에서 본 ‘가족’에 대한 초등교과교육의 실태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JIGSAWⅢ 모형을 적용한 목제품 만들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발명영재 교육의 현황, 당면 과제 및 개선 방안
- 다문화 사회에서 대학의 역할 정립을 위한 사례 탐색 연구 - 연구, 교육, 봉사 영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