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OM(Odyssey of the Mind)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 분석
이용수 101
- 영문명
- Analysis on Creative Problem Solving Tasks of the OM(Odyssey of the Mind)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대영(Moon Dae 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4권 제4호, 61~7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OM(Odyssey of the Mind)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 분석을 통해 초·중등 공학교육활동과제의 개발 방향 도출에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내용 분석법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장기 과제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유형별 특징을 도출하고, 각 유형별 과제에서 강조하는 공학 교육의 핵심 역량과 STEAM 요소 및 기술 교육의 내용 영역을 확인하였다. 기계/수송장치(mechanical/vehicle), 기술적 공연(technical performance), 고전(classics), 구조
물(structure), 공연(performance)과 같은 5개 유형의 과제에서는 각각 팀 활동을 통해 공학·기술적 요소와 인문·예술적 요소가 통합된 창의성을 촉진하려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OM 활동과제는 공학 교육의 핵심 역량 중 디자인, 협력과 팀워크, 창의, 시각화, 재료와 자원활용과 같은 역량 요소를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유형에 따라 과학-기술-수학의 연계, 제한조건의 극복, 시스템 이해, 최적화, 분석, 특정 기술 이해와 적용, 모델링, 실험 등과 같은 공학 교육의 핵심 역량을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M 활동과제는 STEAM의 전 요소 또는 공학과 예술 요소를 통합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기술 교육 내용 영역 중 제조, 건설, 수송 기술 영역을 다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rections of k-12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on creative problem solving tasks of the OM (Odyssey of the Mind). To accomplish this purpose context analysis method was carried out. 5 types of tasks such as mechanical/vehicle, technical performance, classics, structure,
and performance were integrated with the elements of technology, engineering, humanity, and art. Creative problem solving tasks of the OM were designed to cultivate the creativity through the team activity. These tasks were dealt with core competencies of engineering education such as design, cooperation & teamwork, creativity, visualization, using material & resource, context of STM, overcoming the constraint, understanding the system, optimization,
analysis, understanding & using specific technology, modeling, and experimentation. 5 types of tasks of OM were developed with STEAM integrated approach or EA integrated approach. These tasks were dealt with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technology domain.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 발명영재 요인 및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체계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초등 실과 교원능력개발을 위한 평가지표의 중요도 조사 연구
-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창의교실 프로그램 개발
-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초등학교 조리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개정 교육과정 초 · 중등 실과(기술 · 가정)/가정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및 연계성 비교 분석
- 실과의 비교 우위 가치와 발전 방안
- OM(Odyssey of the Mind)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 분석
- 실과 교과서 ‘간단한 전자 회로 꾸미기’ 단원의 활동과제 분석
-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교육의 관점에서 본 ‘가족’에 대한 초등교과교육의 실태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JIGSAWⅢ 모형을 적용한 목제품 만들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발명영재 교육의 현황, 당면 과제 및 개선 방안
- 다문화 사회에서 대학의 역할 정립을 위한 사례 탐색 연구 - 연구, 교육, 봉사 영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