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일본의 개정 교육과정 초 · 중등 실과(기술 · 가정)/가정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및 연계성 비교 분석
이용수 158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n the Housing Unit in Practical Arts(TechnologyㆍHome Economics)/Home Economics of the Revised Curricula and Connection between Korea and Japa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상옥(Jang Sang ock)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4권 제4호, 297~31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개정 교육과정 실과(기술ㆍ가정)/가정 교과 주생활영역의 내용체계에서의 위치 및 교육내용을 파악하고, 연계성을 비교 분석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 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영역 내용체계 속 주생활영역의 위치를 보면 초등학교는 다른 내용영역에 비하여 다소 미약하고, 중ㆍ고등학교는 비교적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중학교 경우 대단원명에 제시되지 않아 초ㆍ중학교의 대단원명에 명시된 일본에 비하여 내용영역의 정체성이 드러나지 않고 있어 적절한 비중의 주생활영역이 포함되는 내용체계 및 단원명 구성이 요망된다. 둘째, 주생활영역 교육내용은 초등학교의 경우 쓰레기 처리 및 재활용 등을 다루어 지속가능한 주생활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실내환경의 조절까지 다루는 일본에 비하여 내용요소가 작은 편이므로 자신이나 가족의 공간을 정리ㆍ정돈하고 실내환경을 적절히 조절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녹색생활 교육 내용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중학교는 ‘지속가능한 주생활’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고등학교는 초ㆍ중학교의 학습을 발전시킬 수 있는 내용 구성이 요망된다. 셋째, 주생활영역 교육내용의 연계성은 상당 부분의 영역이 초등에서 중등으로 연계되는 일본에 비하여, 한국은 일부 영역이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연계될 뿐 초ㆍ중ㆍ고등학교로 계속 연계되지 않고 있어 초ㆍ중ㆍ고등학교 주생활영역 교육내용이 연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개발 시 이를 배려해야 한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osition in terms of content organization and educational contexts between Housing Unit of Practical Arts(TechnologyㆍHome Economics)/Home Economics curricula of Korea and Japan, compare and analyze the connection between them thus finally acquiring suggestive points for developing
curriculum and textbook.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position of Housing Unit in Home Economics content organization, primary school curriculum showed insufficient amount of the particular subject while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showed relatively balanced composition. However in middle school, Housing
Unit isn t presented in unit showing less identity than Japanese curriculum. Therefore more organized curriculum consisting adequate weight of Housing Unit and clear statement in chapter name is required. Second,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s of Housing Unit ,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as advisable in the view of sustainable
dwelling life by handling management and recycling of garbage. However its content quantity is insufficient compared to Japanese curriculum which additionally deals with control of indoor environm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containing green life by tidying up individual and family members space and regulating indoor environments appropriately should be added to the existing curriculum. Also, middle school curriculum should present the sustainable dwelling life part in detail while content organization that can expand the prim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is required for high school curriculum. Third, compared to the Japanese curriculum in which all the
educational contents of primary, middle are connected, Korean curriculum shows deficient connection of the Housing Unit among the gradual curriculum from primary to high school except few contents. Thus it is advised that the conn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of Housing Unit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hould be considered
during the development of textbook.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 발명영재 요인 및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체계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초등 실과 교원능력개발을 위한 평가지표의 중요도 조사 연구
-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창의교실 프로그램 개발
-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초등학교 조리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개정 교육과정 초 · 중등 실과(기술 · 가정)/가정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및 연계성 비교 분석
- 실과의 비교 우위 가치와 발전 방안
- OM(Odyssey of the Mind)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 분석
- 실과 교과서 ‘간단한 전자 회로 꾸미기’ 단원의 활동과제 분석
-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교육의 관점에서 본 ‘가족’에 대한 초등교과교육의 실태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JIGSAWⅢ 모형을 적용한 목제품 만들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발명영재 교육의 현황, 당면 과제 및 개선 방안
- 다문화 사회에서 대학의 역할 정립을 위한 사례 탐색 연구 - 연구, 교육, 봉사 영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