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실과 교원능력개발을 위한 평가지표의 중요도 조사 연구
이용수 41
- 영문명
- Survey on the Importance Level of Evaluation Index for Teacher Ability Development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진현(Jung Jin Hyun) 김유정(Kim Yu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4권 제4호, 249~2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실과 교원능력개발을 위한 맞춤형 연수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한 각 평가지표별 항목을 개발하여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평가지표별 항목의 중요도를 조사⋅분석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12개의 평가지표별로 항목을 개발하고, 12개 평가지표별로 항목의 중요도를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과교육과정의 이해 및 개선 노력’에서는 현행 교육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이, ‘학습자의 특성 및 교과내용 분석’에서는 학생들의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방법 및 학생들의 수준을 반영하여 수업을 설계하는 방법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2. ‘실과 교수·학습전략 수립’에서는 실과 교과내용에 대한 이해를, ‘수업의 도입’에서는 실과 학습자에게 수업의 관련성과 성취감 제시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3. ‘교사의 발문’에서는 실과 수업 상황에 적절한 발문 및 창의적이고 개방적인 사고를 촉진하는 사례를, ‘교사의 태도’에서는 친절한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4. ‘교사-학생 상호작용’에서는 교사의 역할을, ‘실과 교수-학습 자료(매체)의 활용’에서는 실과교과 내용에 적합한 자료와 매체를 적절히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5. ‘실과 수업의 진행’과 ‘실과 학습 정리’에서는 실과 수업을 자연스럽게 진행하기 위한 내용과 실과 수업에서 필요한 학습정리 활동을 적절하게 하기 위한 내용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6. ‘실과 평가 내용 및 방법’에서는 평가 방법과 평가 도구 및 문항 제작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내용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실과 평가 결과의 활용’ 지표에서는 실과 평가 결과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학생들을 수준에 맞게 지도하고 상담하는 기법 및 교사 자신의 실과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내용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materials which to need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 for teacher ability development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developed the items at each of 12 evaluation indexes, and was investigated the importance level of evaluation index on the elementary teacher, and was analysed the survey data.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eachers recognized that goal of curriculum, content element, teaching 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are important in the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effort of practical arts evaluation index, and that the method understanding to students level exactly and the method of instruction design reflecting in students level are
important in the subject content analysis and learner s characteristic evaluation index.
2.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understanding about practical arts subject content is very important in the establishment of practical arts teaching learning strategy evaluation index, and that the relationship and achievement of instruction to learner are very important in the instruction induction evaluation index.
3.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fitting epilogue for practical arts instruction situation and the case promoting creative thinking and open-hearted thinking are important in teacher s epilogue evaluation index, and that the kind attitude is very important in teacher s attitude evaluation index.
4.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role of teacher is very important in interaction of teacher-student evaluation index, and that the proper material and media for practical arts content are very important in use of practical arts teaching-learning material(media) evaluation index.
5.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interesting content for practical arts instruction is important in process of practical arts instruction evaluation index, and that the proper content for learning arrangement action is important in learning arrangement of practical arts evaluation index.
6.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concrete and essential content for evaluation method, evaluation tool, and question production is important in evaluation content and method of practical arts evaluation index, and that the various methods for instruction improvement based on evaluation results are important in use of practical arts evaluation results evaluation index.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 발명영재 요인 및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체계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초등 실과 교원능력개발을 위한 평가지표의 중요도 조사 연구
-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창의교실 프로그램 개발
-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초등학교 조리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개정 교육과정 초 · 중등 실과(기술 · 가정)/가정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및 연계성 비교 분석
- 실과의 비교 우위 가치와 발전 방안
- OM(Odyssey of the Mind)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 분석
- 실과 교과서 ‘간단한 전자 회로 꾸미기’ 단원의 활동과제 분석
-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교육의 관점에서 본 ‘가족’에 대한 초등교과교육의 실태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JIGSAWⅢ 모형을 적용한 목제품 만들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발명영재 교육의 현황, 당면 과제 및 개선 방안
- 다문화 사회에서 대학의 역할 정립을 위한 사례 탐색 연구 - 연구, 교육, 봉사 영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