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0
- 영문명
- Effects of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Natural Materials on Environment-friendly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훈성(Choi Hun Sung) 이성숙(Lee Sung Su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4권 제4호, 163~18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환경 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 프로그램은 자연소재를 이용한 생활용품 만들기를 통해 환경에 대해 이해하고 바람직한 환경태도를 가지며 환경 행동을 찾아 실천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통해 환경 친화적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 목적이었다. 짚, 줄, 부들, 갈대 등 자연소재를 이용하여 학생들에게 흥미를 줄 수 있고,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생활용품을 만들어 보도록 하였다. 또한 토끼를 기르며 환경을 생각하고 생명의 소중함을 느끼도록 하였다. 개발된 수업은 8개의 학습 주제로, 총 16차시이었다. 환경과 물의 순환 이해하기, 공기오염과 쓰레기 재활용 이해하기, 짚을 이용하여 달걀꾸러미 만들기, 줄을 이용하여 부채 만들기, 부들을 이용하여 사탕바구니 만들기, 짚을 이용하여 냄비 받침대 만들기, 갈대를 이용하여 빗자루 만들기, 토끼 기르며 생명의 소중함 느끼기로 구성하였다.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을 적용한 결과 환경 친화적 행동은 사전사후 각각 평균3.05점에서 3.70점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5). 영역별로 보면 ‘환경 인식·지식’ 영역은 사전사후 각각 평균 0.50점에서 0.70점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5). ‘환경 태도’ 영역은 사
전사후 각각 평균 3.32점에서 3.71점으로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환경 행동’ 영역은 사전사후 각각 평균 2.80점에서 3.70점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5).각 주제 수업 후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에 대하여 지식, 기능, 태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은 환경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환경친화적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변의 다양한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은 소재와 의의 면에서 볼 때 실과 수업에서 활용가치가 높으며, 향후 실과 환경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natural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ir environment-friendly behaviors. It aims to understand environment through making life supplies necessities using natural materials, have a desirable attitude to environment, practice environment-friendly
behaviors and bring about change of behaviors into environment-friendly ones. It made life supplies available in daily life which can attract their interests by using natural materials like straw, string, cattail and reed, reared rabbit to make them think of environment and feel its importance. Invented class consisted of eight learning themes with total 16 lessons such as understanding the circulation of environment and water, knowing air pollution and waste recycling, making egg straw wrapper using straw, making fan using string, making candy basket with cattail, making pot stand using straw, making broom with reed, and rearing rabbit and experiencing the value of life. As a result of applying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natural materials, it was found that students environment-friendly behaviors were changed positively and attitude and behavior to environm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alysis of the subjects impression after classes by each theme indicated that they showed interest in and satisfaction with teaching-learning using natural materials. Consequently, teaching-learning using natural material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and enhancing environment-friendly behaviors. In the light of current situation that balance of environment has been broken due to life supplies produced by factory in great quantities,
teaching-learning using natural materials around us has high availability in practical subject class and will be also used as basic materi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future.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의 방법 및 절차
IV. 연구의 결과 및 해석
V. 요약ㆍ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 발명영재 요인 및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체계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초등 실과 교원능력개발을 위한 평가지표의 중요도 조사 연구
-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창의교실 프로그램 개발
- 자연소재를 이용한 교수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초등학교 조리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개정 교육과정 초 · 중등 실과(기술 · 가정)/가정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및 연계성 비교 분석
- 실과의 비교 우위 가치와 발전 방안
- OM(Odyssey of the Mind)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 분석
- 실과 교과서 ‘간단한 전자 회로 꾸미기’ 단원의 활동과제 분석
-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교육의 관점에서 본 ‘가족’에 대한 초등교과교육의 실태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JIGSAWⅢ 모형을 적용한 목제품 만들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발명영재 교육의 현황, 당면 과제 및 개선 방안
- 다문화 사회에서 대학의 역할 정립을 위한 사례 탐색 연구 - 연구, 교육, 봉사 영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