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장애인의 학령기 통합교육 여부에 따른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비교

이용수 179

영문명
Effects of Inclusion on the Ultimate Outcome of Special Education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김유진(Yoo Jin Kim) 박승희(Seung Hee Park)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2호, 341~37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의 학령기 학교교육의 통합 여부가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에 미친 영향을 밝히고, 장애정도와 문제행동 빈도를 통제한 후에 그 영향이 어떠한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학령기 12년 학교교육을 모두 특수학교에서만 받은 발달장애인 231명과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만 받은 318명의 총 549명 (18-29세)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자료의 출처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22)의 ‘2021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이다. 연구도구는 김유진, 박승희(2023)의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SP-UO-Index)를 사용했고, 통계분석 방법은 독립표본 t검정, 위계적 회귀분석, PROCESS Macro를 활용한 조절효과 분석이 실시되었다. 학교교육 통합 여부에 따른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등이후교육과 삶의 만족도 하위영역을 제외한 6가지 영역(고용, 자기관리 및 가정생활 역량, 일상생활 공통 역량, 자기결정 역량, 건강 유지)에서,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육받은 집단이 분리교육 환경인 특수학교에서만 교육받은 집단보다 더 높은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를 나타냈다. 이 결과는 장애정도와 문제행동의 빈도를 통제한 조건에서도 동일 하였다. 즉, 통합교육 환경에서 학교교육을 받은 발달장애인의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가 더 높았다. 발 달장애인의 장애정도는 학령기 통합교육 여부가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장애정도가 중도(severe)일수록 통합 여부가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에 미치는 효과가 더 컸다. 본 연구는 학령기 통합교육 여부의 ‘종단적 효과’를 검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과 통합교육을 장애학생의 법 적 권리에서 뿐만 아니라 특수교육 성과 차원에서 교육의 효과를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발달 장애인의 장애정도가 중도일수록 통합 여부가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수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더 컸다 는 결과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장애정도’가 교육배치의 주요 기준으로 작용하는 현재 교육배치 체계에 재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clusion on the ultimate outcome of special education for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IDDs) by comparing the two groups: one group of individuals with IDDs that spent their whole school life in inclusive schools, and the other group that spent theirs in separate special schools. The “2021 Work and Life Survey for the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ata from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KEAD) was used. The data of 549 individuals with IDDs was analyzed; 231 were those spent their whole school life in separate special schools, and 318 were those spent theirs in inclusive schools. The SPecial education’s Ultimate Outcome Index(SP-UO-Index) developed by Kim & Park(2023) was used to measure the outcome. Firstly, among the 8 sub-areas of the SP-UO-Index, all but postsecondary education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a higher score in terms of the ultimate outcome index when one received education in an inclusive setting: employment, self-care and domestic living skills, functional academic skills and social competence, community participation, self-determination, and health maintenance. Secondly, eve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the severity of disability of the individuals with IDDs, inclusion still had effects on the postschool outcomes. Lastly, the severity of disability had a moderating effect on inclusion and postschool outcomes. As one had more severe disability, the effect of inclusion on the postschool outcomes was greater. The results that the score measured with the SP-UO-Index was greater in an inclusive education setting and that those with more severe IDDs benefited more from inclusion put the brakes on the long history of placing students with more severe IDDs in a more restrictive education environment, usually in separate special schools in Korea.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empirically revealed that the inclusive edu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pecial education’s ultimate outcome of IDDs and an individual’s severity of disability should not be operated as the major factor to determine the plac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유진(Yoo Jin Kim),박승희(Seung Hee Park). (2024).발달장애인의 학령기 통합교육 여부에 따른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비교. 특수교육학연구, 59 (2), 341-371

MLA

김유진(Yoo Jin Kim),박승희(Seung Hee Park). "발달장애인의 학령기 통합교육 여부에 따른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비교." 특수교육학연구, 59.2(2024): 341-3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