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시적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 유치원 교육과정’ 문서의 변화와 쟁점에 대한 고찰: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55
- 영문명
- A Review of Changes and Issues in ‘Special Education Kindergarten Curriculum’ Documents through Diachronic Analysis: Focusing on the「2022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숙(Hyunsook Kim) 이병인(Byoungin Lee) 황인영(Inyoung Hwang)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2호, 153~1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간의 추이에 따라 변천사를 연구하는 방법인 통시적 분석을 활용하여 ‘특수교육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화를 분석하고 쟁점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에서 고시된 국가수준 교육과정 문서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 기준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과정의 성격’은 학교급 통합 여부에 따라 내용의 일치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추구하는 인간상’은 최근까지 학교급을 통합 제시하여 유치원의 특성이 나타나는 ‘건강한 사람’에 대한 내용이 없었다. 셋째, ‘목적과 목표’는 대체로 학교급을 분리하여 제시하였고, 시기별 교육과정에 따라 하위제목을 구분하거나 이중으로 언급하였다. 넷째, ‘구성의 중점’은 모두 학교급이 통합 제시되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다섯 째, ‘편성·운영’과 ‘교수·학습’은 유치원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하는 일반성에 해당하는 보편적 지침이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화를 따라 ‘특수교육 유치원 교육과정’에 반영되었다. 여섯째, ‘편성·운영’과 ‘교수·학습’에서 특 수성을 상징하는 지침은 학교급의 통합 여부에 따라 상이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점에 추후 개정될 ‘특수교육 유치원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 및 개선 사항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anges in the special education kindergarten curriculum and consider issues using diachronic analysis, a method of studying changes over time. For this purpose,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document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selected as the main analysis target and the contents of the ‘2022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ere used as the analysis standar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l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tent consistenc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nature of the curriculum’ was integrated at the school level. Second, until recently, the ‘human image to pursue’ presented an integrated view of the school level, and did not contain content on ‘healthy people’,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s. Third, ‘Purpose and Goals’ were generally presented separately by school level, and sub-headings were divided or double-mention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each period. Fourth, the ‘focus of composition’ was often inconsistent as all school level were presented in an integrated manner. Fifth, the general guidelines for ‘organization/ operation’ and ‘teaching/learning’ based o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were reflected in the ‘special education kindergarten curriculum’ following changes i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Sixth, the guidelines symbolizing special characteristics in ‘organization and oper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wer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school level was integra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kindergarten curriculum’ to be revised later were proposed as discussion poi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9권 제2호 목차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일상생활 기술 중재 관련 국외 단일대상연구 동향 분석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용도서 삽화 및 전자 저작물 개발 과정에 대한 인식
- 실과 수업에서의 협력교수가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와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기관 탐방 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변화와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 교과 연계 비디오 자기 모델링 활용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폐 범주성 장애 진단을 받은 아동의 부모를 위한 진단 직후 지원 관련 연구 동향
- 발달장애인의 학령기 통합교육 여부에 따른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비교
- 유치원 통합교육 종사자 간의 관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이 교사의 효능감과 학급관리실행에 미치는 영향
- 통시적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 유치원 교육과정’ 문서의 변화와 쟁점에 대한 고찰: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특수교육 전공 학부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담당 교사의 역량 요구도 분석: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 부자(父子)캠프에 참여한 장애 자녀의 아버지, 실무자, 자원봉사자의 경험 및 요구 분석
- 발달장애인의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의 가족 경험과 가족 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