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로기관 탐방 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변화와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이용수 59
- 영문명
- The Changes in High School Special Class Student and Practical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Action Process of Career Institution Exploration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선(Ji-seon Lee) 임경원(Kyoung-won Lim)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2호, 85~12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기관 탐방 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변화와 특 수교사가 얻게 된 실천적 지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실행연구 방법을 적용하였고, 연구참여자는 연구자로서의 교사,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 7명, 프로그램 자문 교사 3명이다. 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 수집 된 자료를 분석하여 학생의 변화와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은 진로에 대한 관심과 정보가 부족했으나,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진로를 알게 되었고 스스로를 진로의 주체로 인식하며 능동적인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둘째, 특수교사는 진로교육 시 학 생에게 주도성을 부여하고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진로체험 시 사전·사후수업이 필요하며, 진로교육 의 중요성과 진로체험의 이면을 깨닫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진로체험을 위한 방법 과 학생의 진로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seen in high school special class students, as well as the practical knowledge acquir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 during the action process of the career institution exploration program. The research method applied was action research,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the teacher in the role of a researcher, seven students from the high school special class, and three advisory teachers for the program. Data collected during the program execution were analyzed to derive the changes in students and practical knowledge of the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special class students lacked an interest in and information about careers; however, through the program, they became aware of various career options and showed a proactive attitude towards pursuing their own careers. Second, teachers realized that in career education, it is crucial to grant students autonomy and create a positive environment, that preparatory and follow-up lessons are necessary for career experiences, and that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and the behind-the-scenes aspects of career experienc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methods for effective career experiences and ways to support students’ career development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9권 제2호 목차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일상생활 기술 중재 관련 국외 단일대상연구 동향 분석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용도서 삽화 및 전자 저작물 개발 과정에 대한 인식
- 실과 수업에서의 협력교수가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와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기관 탐방 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변화와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 교과 연계 비디오 자기 모델링 활용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폐 범주성 장애 진단을 받은 아동의 부모를 위한 진단 직후 지원 관련 연구 동향
- 발달장애인의 학령기 통합교육 여부에 따른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비교
- 유치원 통합교육 종사자 간의 관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이 교사의 효능감과 학급관리실행에 미치는 영향
- 통시적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 유치원 교육과정’ 문서의 변화와 쟁점에 대한 고찰: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특수교육 전공 학부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담당 교사의 역량 요구도 분석: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 부자(父子)캠프에 참여한 장애 자녀의 아버지, 실무자, 자원봉사자의 경험 및 요구 분석
- 발달장애인의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의 가족 경험과 가족 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