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담당 교사의 역량 요구도 분석: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이용수 91

영문명
An Analysis of Competency Requirements for Itinera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Education: Focusing o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n Gyeonggi Province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전봉철(Bongcheol Jeon) 서효정(HyoJeong Seo)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2호, 177~20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담당 특수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에 대한 인식과 교육적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담당 특수교사의 역량을 체계적으 로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담당 특수교사에게 필요한 역량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경기도 25개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통합교육형 순회교육을 담당하는 특수교사 모두에게 필요한 역량의 우선순위는 ‘순회교육대상학생의 특성 및 교육적 요구 이해’, ‘특수교육 교육과정 이해’, ‘교육과정 재구성’ ,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운영 지원’, ‘직접 교수·학습 지원’, ‘행동중재 지원’, ‘일반 교원 상담’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지 자격과 학교급에 따라 특수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의 우선순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교육형 순 회교육 담당 특수교사 모두에게 필요한 역량과 특수교사의 소지 자격 및 학교급에 따라 필요한 역량의 우선순 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담당 특수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regarding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at are responsible for itinerant services in inclusive education.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provide insights for systematically supporting the competenc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inclusive itinerant programs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25 region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Gyeonggi-do, this survey is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itinera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The priority competencies required by all itinera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sible for inclusive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follow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served by itinerant services, understanding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curriculum restructuring, supporting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direct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behavior intervention support, and consulting with general education teachers. Additionally, differences in the priority of required competencies were observed based on teacher qualification and school level. Based on this study’s findings, the necessary competencies for all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sible for inclusive itinerant education were identified, along with the differences in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teachers’ qualifications and school levels.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the competenc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itinerant programs were then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봉철(Bongcheol Jeon),서효정(HyoJeong Seo). (2024).통합교육형 순회교육 담당 교사의 역량 요구도 분석: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59 (2), 177-201

MLA

전봉철(Bongcheol Jeon),서효정(HyoJeong Seo).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담당 교사의 역량 요구도 분석: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59.2(2024): 177-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