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용도서 삽화 및 전자 저작물 개발 과정에 대한 인식
이용수 47
- 영문명
- The Awareness of the Development Illustrations and Electronic Works for the Subject of Korean of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기(Junggi Kim)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2호, 321~34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1-2학년군 국어과 교과용도서의 삽화 및 전자 저작물 개발 과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향후 삽화 및 전자 저작물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과용도서 편찬 사업에 참여한 연구진, 집필진, 삽화 및 전자 저작물 담당 업체, 출판사, 연구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삽화 개발 과정의 인식에는 3개의 대주제와 10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고, 전자 저작물 개발 과정의 인식에는 3개의 대주제와 9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적용 대상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특수교육 대상학생이기 때문에 장애 정도가 심한 학생을 위한 교과용도서 개발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과용도서의 편찬의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고, 전자 저작물 개발 비중의 확대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both the illustration and electronic work development process for the subject of Korean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grades of the 2022 revised Basic Education Curriculum. It also aims to offer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llustrations and electronic work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researchers, writers, companies responsible for illustrations and electronic works, publishers, and research companies involved in the curriculum textbook compilation project. All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3 major topics and 10 sub-categories were derived for the recognition of the illustration development process, furthemore 3 major topics and 9 sub-categories were derived for the recognition of the electronic work development process. Since the curriculum is applied to students requiring special education enrolled in special schools under the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textbooks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to reduce trial and error in the compilation of curriculum textbooks and increase the proportion of electronic work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9권 제2호 목차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일상생활 기술 중재 관련 국외 단일대상연구 동향 분석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용도서 삽화 및 전자 저작물 개발 과정에 대한 인식
- 실과 수업에서의 협력교수가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와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기관 탐방 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변화와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 교과 연계 비디오 자기 모델링 활용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폐 범주성 장애 진단을 받은 아동의 부모를 위한 진단 직후 지원 관련 연구 동향
- 발달장애인의 학령기 통합교육 여부에 따른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비교
- 유치원 통합교육 종사자 간의 관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이 교사의 효능감과 학급관리실행에 미치는 영향
- 통시적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 유치원 교육과정’ 문서의 변화와 쟁점에 대한 고찰: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특수교육 전공 학부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담당 교사의 역량 요구도 분석: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 부자(父子)캠프에 참여한 장애 자녀의 아버지, 실무자, 자원봉사자의 경험 및 요구 분석
- 발달장애인의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의 가족 경험과 가족 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