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인의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의 가족 경험과 가족 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3
- 영문명
- A Study on the Family Experiences and Family Support Needs of Adult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한민정(Minjeong Han)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2호, 203~22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성인 비장애 형제가 느낀 가족 경험과 가족 지원 요구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6명의 발달장애인의 성인 비장애 형제가 참여하여 연구자와 1대1 심층 면담을 하였다. 면 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의 가족 경험과 가족 지원 요구는 159개의 개념과 37개의 하위범 주, 10개의 상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상위 범주는 각각 과거 3개, 현재 4개, 미래 3개로 구분되었다. 과거의 경험과 요구에 관한 상위 범주는 ‘가족 내 갈등과 긴장 그리고 혼란’, ‘장애 형제와 관련된 경험과 인식’, ‘위로 와 도움이 필요했던 어린 나’이다. 현재는 ‘가족에 묶여있는 나’, ‘장애 형제의 이슈로 희비가 교차하는 가족’, ‘절실하게 필요한 정보와 지원’, ‘부모님에 대한 감정’이다. 미래에 관한 상위 범주는 ‘기대보다 두려운 미래’, ‘나의 결혼과 나의 형제’. 사랑하는 그러나 부담스러운 형제’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의 가족 경험과 가족 지원 요구를 바탕으로 한 가족 지원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mily experiences and family support needs of adult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e research, in-depth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adult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tudy revealed 159 concepts, 37 subcategories, and 10 main categories regarding the family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these adult siblings. The main categories were divided into three for the past, four for the present, and three for the future. The past experiences and needs included ‘conflict, tension, and confusion within the family,’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lated to the sibling with a disability,’ and ‘a young self needing comfort and help.’ The present included ‘being tied to the family,’ ‘a family experiencing joy and sorrow due to issues with the sibling with a disability,’ ‘urgently needed information and support,’ and ‘emotions towards the parents.’ The future included ‘a future more fearful than anticipated,’ ‘my marriage and my sibling,’ and ‘a beloved but burdensome sibling.’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iscusse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amily support in consideration of the family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adult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9권 제2호 목차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일상생활 기술 중재 관련 국외 단일대상연구 동향 분석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용도서 삽화 및 전자 저작물 개발 과정에 대한 인식
- 실과 수업에서의 협력교수가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와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기관 탐방 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변화와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 교과 연계 비디오 자기 모델링 활용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폐 범주성 장애 진단을 받은 아동의 부모를 위한 진단 직후 지원 관련 연구 동향
- 발달장애인의 학령기 통합교육 여부에 따른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비교
- 유치원 통합교육 종사자 간의 관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이 교사의 효능감과 학급관리실행에 미치는 영향
- 통시적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 유치원 교육과정’ 문서의 변화와 쟁점에 대한 고찰: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특수교육 전공 학부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담당 교사의 역량 요구도 분석: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 부자(父子)캠프에 참여한 장애 자녀의 아버지, 실무자, 자원봉사자의 경험 및 요구 분석
- 발달장애인의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의 가족 경험과 가족 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