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과 연계 비디오 자기 모델링 활용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0

영문명
Effects of Curriculum-linked Social Story Intervention with Video Self-modeling o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a High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김소연(Soyeon Kim) 김은경(Eun Kyung Kim)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2호, 121~15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교과 연계 비디오 자기 모델링 활용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수업참 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자폐성장 애 2학년 남학생 1명 이었다. 연구 설계는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실험은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의 순서로 실시되었다. 중재는 주 2~3회 실시하였으며, 비디오 자기 모델링이 활용된 상황이야기 읽기, 상황이야기 이해도 평가, 역할놀이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수업참여행동은 수업준비하기, 참여하기, 경청 하기이다. 연구 결과, 교과 연계 비디오 자기 모델링 활용 상황이야기 중재를 통해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 발생률이 증가하였고, 중재 종료 후에도 향상된 행동은 유지되었다. 교과 연계 비디오 자기 모 델링 활용 상황이야기 중재능 자폐성장애 고등하생의 수업참여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국어와 사회 교과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중재를 자연적인 수업 상황에서 실시하고, 비디오 자기 모 델링과 상황이야기라는 시각적 단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을 향상시 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rriculum-linked social story intervention with video self-modeling o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high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The participant was a second grade in high school student with ASD attending a special class located in Gyeonggi-do.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applied to the research design, and it proceeded in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two to three times a week in the special class. Reading social story with video self-modeling, assessment of social story comprehension, and role play activities were all carried out. Classroom participation behaviors were defined as preparing for class, engaging in class activities, and listening attentivel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curriculum-linked social story intervention with video self-modeling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a high school student with ASD.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was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Therefore, the intervention can be considered to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lassroom participation behavior of the high school student with AS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mplemented the intervention in a natural classroom settings linked to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social studies, using a combination of video self-modeling and social stories as visual cues to enhance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the high school student with AS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연(Soyeon Kim),김은경(Eun Kyung Kim). (2024).교과 연계 비디오 자기 모델링 활용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59 (2), 121-152

MLA

김소연(Soyeon Kim),김은경(Eun Kyung Kim). "교과 연계 비디오 자기 모델링 활용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59.2(2024): 121-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