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통합교육 종사자 간의 관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76
- 영문명
-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Inclusive Education Practitioners in Kindergarte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민(Kyungmin Kim) 노진아(Jina Noh)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2호, 1~37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 함께 실존하고 있는 통합교사, 특수교사, 특수교육지원인력 간의 관계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총 12명의 통합교육 종사자로, 4곳의 유치원에서 각각 특수교사 1명, 통합교사 1명, 특수교육지원인력 1명씩, 유치원별로 3명의 연구 참여자가 한 팀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을 관찰 하고 면담한 결과, 통합교육 종사자 간의 상호작용 및 역할 갈등에 대한 체험이 드러났다. 이 결과를 현상학적 으로 재해석하여, 은폐돼 있어서 쉽게 드러나지 않은 현상인 통합교육 종사자 간의 독특한 관계 형태와 힘의 크기에 따른 실존방식이 밝혀졌다. 통합교육 종사자는 독특한 관계 형태 속에서 구조적으로 이미 주어진 힘의 크기에 따라 각자 다른 방식으로 유치원에 실존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통합교육 종사자 간의 상호작용과 갈등이라는 체험 속에서 이들의 관계 형태, 힘의 크기에 따른 실존방식을 밝힘으로써, 통합교육 종사자의 관 계 구조가 규명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통합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 것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structure among general education teach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coexisting in kindergartens.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a total of 12 education practitioners from four different kindergartens, each of which provided a team of three participants: one general education teacher, on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one special education assistant. Through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these participants, the study revealed patterns of interaction and instances of role conflict among inclusive education practitioners. This result was phenomenologically reinterpreted, revealing the unique relationship forms among inclusive education practitioners and their modes of existenc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power, which were hidden phenomena not easily exposed. Inclusive education practitioners existed in kindergarten in different ways, each according to the structurally predetermined magnitude of power within their unique relationship form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structure of inclusive education practitioners was elucidated by revealing their relationship forms and modes of existenc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power, within the experience of interactions and conflicts among inclusive education practition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ture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this resul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보이는 것: 통합교육 종사자 간의 상호작용과 갈등
Ⅳ. 보이지 않는 것: 통합교육 종사자 간의 관계 구조
Ⅴ.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9권 제2호 목차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일상생활 기술 중재 관련 국외 단일대상연구 동향 분석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용도서 삽화 및 전자 저작물 개발 과정에 대한 인식
- 실과 수업에서의 협력교수가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와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기관 탐방 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변화와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 교과 연계 비디오 자기 모델링 활용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폐 범주성 장애 진단을 받은 아동의 부모를 위한 진단 직후 지원 관련 연구 동향
- 발달장애인의 학령기 통합교육 여부에 따른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비교
- 유치원 통합교육 종사자 간의 관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이 교사의 효능감과 학급관리실행에 미치는 영향
- 통시적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 유치원 교육과정’ 문서의 변화와 쟁점에 대한 고찰: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특수교육 전공 학부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담당 교사의 역량 요구도 분석: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 부자(父子)캠프에 참여한 장애 자녀의 아버지, 실무자, 자원봉사자의 경험 및 요구 분석
- 발달장애인의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의 가족 경험과 가족 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