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자(父子)캠프에 참여한 장애 자녀의 아버지, 실무자, 자원봉사자의 경험 및 요구 분석
이용수 35
- 영문명
- Analysis of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Fa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Staffs, and Volunteers Who Participated in the Father-Child Camp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정지희(Jeehee Jeong) 이현주(Hyunjoo Lee)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2호, 291~31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자녀와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는 부자(父子)캠프를 운영한 후 참여 경험 및 요구 를 장애 자녀의 아버지, 실무자, 자원봉사자를 통해 탐색하여 질 높은 가족지원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G시 부자캠프에 참여한 아버지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고 면담 참여에 동의한 아버지 4인 및 부자캠프를 담당했던 실무자 2인, 부자캠프를 지원했던 자원봉사자 5인을 대상으로 각각 초점집단면담 (FGI)을 진행하였다. 면담 자료는 지속적 비교법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캠프 참여 계기’, ‘캠프 참여 경험’, ‘캠프 활성화를 위한 지원 요구’의 3가지 대주제와 이에 따른 11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아버 지 참여자들은 부자캠프 참여를 통해 자녀와 더욱 질적인 시간을 보내게 되었으며 결과적으로 가족 구성원 모두 행복한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고 하였다. 또한 부자캠프가 아버지 참여를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하여 향 후 아버지들이 장애 자녀를 위한 가족 지원 참여자로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결론 및 제언에서는 아버지의 가족 참여를 위한 부자캠프 확대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삶에 있어 매우 중요한 가족 구성원인 아버지 당사자를 대상으로 한 가족캠프에 참여했던 아버지, 실무자, 자원봉사자의 참여 경험을 다각적으로 탐구하였고, 향후 부자캠프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역할을 고찰 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fathers who have a child with disabilities. To conduct the research, focused group interviews(FGI) were conducted with fathers, staff, and volunteers who participated in the camp. The interview content was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ree main themes,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camp’,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the camp’, ‘the demand for support to revitalize the camp’ along with eleven subthemes related to these main themes. Father participants said that they were able to spend more quality time with their children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camp, and as a result, all families were able to have a happy time. In addition, it was expected that the camp would serve as a pick-up water so that fathers could actively work as family support participant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future. In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ways to increase father participation and support it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father·s experiences in depth for the father, who is a very important party in the life of the disabled, and examines the role of the camp through various personnel related to the camp.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9권 제2호 목차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일상생활 기술 중재 관련 국외 단일대상연구 동향 분석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용도서 삽화 및 전자 저작물 개발 과정에 대한 인식
- 실과 수업에서의 협력교수가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와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기관 탐방 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변화와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 교과 연계 비디오 자기 모델링 활용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폐 범주성 장애 진단을 받은 아동의 부모를 위한 진단 직후 지원 관련 연구 동향
- 발달장애인의 학령기 통합교육 여부에 따른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비교
- 유치원 통합교육 종사자 간의 관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이 교사의 효능감과 학급관리실행에 미치는 영향
- 통시적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 유치원 교육과정’ 문서의 변화와 쟁점에 대한 고찰: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특수교육 전공 학부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담당 교사의 역량 요구도 분석: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 부자(父子)캠프에 참여한 장애 자녀의 아버지, 실무자, 자원봉사자의 경험 및 요구 분석
- 발달장애인의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의 가족 경험과 가족 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