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¹⁸F-FDG PET/CT 검사에서 신장 방사능의 효과적인 배설 방법에 관한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Evaluation of the Effective Methods for Renal Washout on ¹⁸F-FDG PET/CT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김성수(Seong Su Kim) 김종철(Jong Cheol Kim) 신용철(Yong Cheol Shin) 이선도(Sun Do Lee) 이남주(Nam Ju Lee) 김승수(Seung Soo Kim) 이춘호(Chun Ho Lee)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14 No.2, 55~59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Renal excretion is the main route of FDG clearance in FDG PET/CT scan. Applying optimal method of renal excretion is very important for enhancing image quality and diagnostic accuracy. We evaluated several methods of renal excretion in FDG PET/CT scan.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normal renal function were prospectively includ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 and undergone early and delayed FDG PET/CT scans. (1) Delay group; at 1 hour later of early scan, delayed scan was performed without additional hydration, (2) Hydration group; at 1 hour later of early scan, delayed scan was performed with additional oral hydration (700 mL of water), (3) Lasix group; lasix was administered at the end of early scan and dealyed scan was performed 30 min later. Early and delayed scans were compared to evaluate efficiency of renal excretion. Visual and quantitative analyses were performed by experienced physician and technologist of nuclear medicine. Results: On the visual analysis, renal excretion was the most evident in Lasix group followed by Hydration group. Delay group showed poor renal excretion.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hout rates were 9.2±20.7 %, 28.1±22.8 % and 29.5±23.1 % for Delay, Hydration and Lasix groups, respectively.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lasix was the best method for enhancing renal excretion. Delayed scan with hydration was also efficient method, but delayed scan without hydration was not adequate method.
목차
서론
실험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isternography 검사 시 사용되는 방사성의약품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검사도입 및 유용성 평가
- 위암 환자의 양전자 방출 컴퓨터 단층 검사에서 복와위(伏臥位) 촬영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 ⁹⁹ᵐTc-DMSA 신장검사에서 획득 계수의 차이에 따른 기능 및 형태 평가
- Tl-201 심근관류 SPECT 검사에서 광대역 재구성(Wide Beam Reconstruction: WBR) 방법과 여과 후 역투영법에 따른 영상의 질 및 정량적 지표 값 비교
- Near Miss 사고 예방 활동과 환자안전관리 문화형성이 환자안전에 미치는 영향
- 게이트심장혈액풀스캔과 게이트심장혈액풀 SPECT로 측정한 심박출계수의 심초음파와의 비교 연구
- PET/CT 3D 영상에서 감쇠보정 위치 변화 방법을 이용한 영상 재구성법의 평가
- 국가 표준물질을 이용한 B형 간염 검사 시약 간의 결과 비교
- 간암환자에 있어서 ¹¹C-Acetate와 ¹⁸F-FDG PET/CT 검사의 당일 검사법과 양일 검사법의 비교
- 의료기관 핵의학 종사자의 직무 별 개인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 위 부분절제술 환자의 간담도 스캔에서 위-담즙역류
- 전신 PET/CT 검사에서 팔의 위치에 따른 감약 정도와 SUV 변화 평가
- 핵의학 체내검사 업무 단계 별 피폭선량 측정 및 분석을 통한 피폭선량 감소 방안
- 허혈성 심장 질환의 One-stop Evaluation Protocol
- PET/CT 검사에서 Metformin 성분의 항 당뇨약제에 의한 대장에서의 ¹⁸F-FDG 섭취에 관한 연구
- PET 검사 프러시저별 방사선 차폐기구의 유용성 평가
- PET/CT 공동운영에 대한 사례 연구
- ⁹⁹ᵐTc 발생기의 24시간 내 2회 용출의 유용성 평가
- 유방암 환자에서 전신 뼈 검사 후 감시림프절 위치 파악 검사의 유용성
- SPECT/CT 영상에서 Volumetrix Suite의 유용성
- 유방암 환자의 Positron Emission Mammography에서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조기 암 진단을 위한 ¹⁸F-FDG Fusion PET의 유용성
- CT 선량 측정 프로그램을 이용한 PET/CT 검사 환자의 예측 유효 선량의 분석
- Coated tube를 사용한 CA19-9 측정용 IRMA 시약의 평가
- 방사선 차폐체 제작을 통한 작업종사자 피폭 감소 방안
- 자동합성장치를 이용한 [¹⁸F]Fallypride의 합성
- PET/CT 영상에서의 치과재료에 의한 인공물에 관한 연구
- ⁹⁹ᵐTc-MAA를 이용한 간세포암의 간동맥 관류 스캔의 유용성
- 국산 자동화 장비(Gamma Pro)의 결과보고시간 단축에 대한 유용성 평가
- ¹⁸F-FDG PET/CT 검사에서 신장 방사능의 효과적인 배설 방법에 관한 연구
- ¹⁸F-FDG를 이용한 전신 PET 검사에서 혈당 측정 검사지의 정확한 사용에 따른 혈당 수치의 차이 분석
- PET/CT 검사에서 방사선 종사자 피폭선량 저감에 대한 방안 연구
- 방사성동위원소 및 방사성의약품 분주장치의 자체제작
- 외부 반출 PET/CT 영상 현황 및 개선점
- 갑상선암의 경부 림프절 전이 진단을 위한 미세침세척액 티로글로불린 측정법
- 유방암 수술환자가 Tamoxifen복용기간 중 발생하는 FSH와 E2의 수치 변화
- 고정용 팁을 사용하는 Automated Liquid-Handling System의 RIA적용의 평가
- 방사성오염물질 처분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방사선사 인식조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Attention UNet 모델을 활용한 유방 초음파 영상 분할: IoU 기반 학습 및 AUC, MSE 평가
- RI 등 사용 허가 대학의 정기 검사 수검 사례: 방사선학과를 대상으로
- 삼중수소 측정 신뢰성 검증을 위한 국제숙련도시험 결과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