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이용수 42

영문명
A Study on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허미정 최재원 방효국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39권 제6호, 499~52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보육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교육, 실태, 교육활성화에 대한 인식 등으로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이 중 부적합한 29부를 제외한 171부를 SPSS 26.0 Window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다중응답 등을 구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문제에 따라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보육교사 중 대다수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접한 적이 없으며, 영유아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매체로 유튜브라고 답하였으며 미디어의 폭력적인 장면은 영유아의 공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보육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실태는 주 1회 실시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 내용으로 미디어 사용시 지켜야 할 약속을 알아보는 것이라고 답하였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에 대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영유아의 다양한 경험을 위해 필요하며, 향후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연수가 있을 경우 '가능한 참여하겠다'고 답하였다 또한 교육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미디어 매체 교육자료 등 환경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미디어 리터러시는 영유아기 때부터 지속적으로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기관 뿐만 아니라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좋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자료와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mong childcare teachers.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lished to include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educational practice, and perception of educational revitalization. Methods: The subject of the study involved two hundr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childcare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metropolitan areas such as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Of these, 171 copies, excluding twenty-nine inappropriate ones, were collected using the SPSS 26.0 Window program to determin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d percentages, multiple responses, and other areas were calculated.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childcare teachers have never been exposed to media literacy, and answered that YouTube is the medium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infants and toddlers. They recognized that violent scenes in the media have a negative impact on infants’aggression levels. As for the statu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childcare teachers, most teachers conducted it once a week, and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was to learn about promises that must be kept when using media. Regarding the revitaliza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hey responde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is necessary for infants and toddler sto have diverse experiences, and that if there is media literacy-related training in the future, they will ‘participate if possible’. They also said that environmental support, such as media and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be utilized in educational settings, is required. Conclusion: Media literacy requires continuous education from infancy, and the implication i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good media literacy education materials and programs so that media literacy can be achieved through connections not only with educational institution but also with famil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미정,최재원,방효국. (2023).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교원교육, 39 (6), 499-520

MLA

허미정,최재원,방효국.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교원교육, 39.6(2023): 499-5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