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과서 내 장단의 개념 정립 방안 연구

이용수 45

영문명
Research on Establishing the Concept of Jangdan in T extbooks: Focusing on Jeongganbo and Rhythmic Notation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이장원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39권 제6호, 107~12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내 장단의 올바른 개념 정립을 위한 방안으로 정간보 및 오선보 표기법을 체계화한 후 통일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교과서 내 기본장단형과 제재곡의 장단 표기 방식을 파악해 본 후에 통일된 기보 방식 확립을 위한 개선점을 제안했다. 그리고 서양음악의 분할론과는 달리 집합론에 의해 형성되는 장단의 개념 정립을 위한 박 구성 체계 방식을 고안해 보았다. 연구결과 장단의 개념 정립을 위해 제안한 표기 방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자표기 방식의 통일을 위하여 혼소박 장단인 엇모리장단의 표기 방식을 다른 장단과 통일해서 제시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통하여 같은 범주에서 박자표를 확립하고 장단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집합론의 개념을 정간보로 인식하도록 제시했다. 정간보와 오선보를 병행하여 장단을 표기하고 교육하고 있는 시점에서 양악의 음표와는 반대 방식으로 형성되는 박, 더 나아가 박의 집합으로 구성되는 장단의 특징은 정간보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소박, 박, 대박으로 구성되는 박의 층위에 맞는 정간보의 기보법을 재구성하여 제시했다. 셋째, 호흡을 중심으로 장단을 교육할 수 있는 장단 악보를 제시했다. 소박을 표시한 장단의 장점은 세세한 박의 진행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이를 잘못 체득하면 박의 층위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따라서 소박을 나누지 않은 정간보도 함께 교육적으로 활용하여 장단의 특성을 파악하도록 했다. 결론 장단은 국악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지도 요소이다. 집합론에 의거한 장단의 개념 형성을 위해서는 박자표와 정간보의 표기 방식을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제시해야 한다. 앞으로도 박자와 장단의 올바른 개념정립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서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의거한 음악교과서에서는 장단 기보 체계가 통일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unified method of notating the correct concept of Jangdan in textbooks by systematizing both Jeongganbo and stave notation. Methods: Following understanding the notation of the basic Jangdan form and designated songs within textbooks, suggestions were made for a unified notation system. Furthermore, instead of the division theory found in Western music, a beat system based on set theory was devised for establishing the concept of Jangdan. Results: The proposed notation method for establishing the concept of Jangdan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unify the notation of Eotmori jangdan, known as Honsobak jangdan, with other Jangdan was emphasized for a standardized beat notation. Through this, one can establish beat notationwithin the same category and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Jangdan.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set theory should be recognized through Jeongganbo. At the point where Jangdan is being notated and taught concurrently with Jeongganbo and stave notation, bak formed in a manner opposite to Western musical notes, and further, the characteristics of rhythms formed by sets of beats should be understood through Jeongganbo. Therefore, a Jeongganbo notation that matches the levels of beats, which are composed of small Sobak-Bak-Daebak, was reconstructed and presented. Third, a Jangdan score that can educate Jangdan focusing on breathing was presented. The advantage of Jangdan noted with a Sobak is that one can visually confirm the detailed progression of beats. However, if one does not grasp it correctly, they cannot understand the hierarchy of beats. Hence, Jeongganbo without divided Sobak was also utilized for educational purposes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Jangdan. Conclusion: Jangdan is the most critical teaching element in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To form the concept of Jangdan based on set theory, it is essential to systematically present the notation methods of beat notation and Jeongganbo. It is hoped that ongoing research for the accurat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beats and Jangdan will result in a unified rhythm notation system in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2022 revised music and education curriculum.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교과서에 제시된 박자표기 방식과 장단 개념
Ⅲ. 교과서 박자와 장단 개념 정립을 위한 방안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장원. (2023).교과서 내 장단의 개념 정립 방안 연구. 교원교육, 39 (6), 107-127

MLA

이장원. "교과서 내 장단의 개념 정립 방안 연구." 교원교육, 39.6(2023): 107-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